학술논문
대안적 교사교육 접근으로서 반성적 실천주의가 갖는 함의 탐색
이용수 707
- 영문명
- A Study on the Implication of Reflection-in-Action as an Alternative Approach of Teacher Education
- 발행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김하연(Ha yeon Kim)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65집, 197~22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4.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반성적 실천주의가 인성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에 갖는 함의를 탐색하는 것에 있다. 실천성을 결여한 기존의 전문적 지식 교육 패러다임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반성적 실천주의는 교사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교사교육의 대안적 접근으로서 주목 받고 있다. 반성적 실천주의는 반성과 실천의 새로운 관계 규정을 통해 이론과 실제의 연결성을 강화함으로써 교사교육의 실효성을 높이고자 하는 시도를 특징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교육 패러다임의 변화를 통해 반성적 실천주의의 등장배경을 살펴보고, 반성적 실천주의의 개념 및 대안적 교사교육 접근으로서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나아가 반성적 실천주의의 핵심 개념인 반성과 실천의 도덕 철학 및 도덕 심리학적 타당화 과정을 통해 반성적 실천주의가 제시하는 교사의 인성교육적 자질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implication of Reflection-in-Action in Teacher-Education for Character-Education as a new paradigm of Teacher-Education. Reflection-in-Action which emerged from the critical mind of current professional knowledge education paradigm that is lack of practice, attracts attention as an alternative approach of Teacher-Educat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significance of Reflect-in-Action is enhancing the practicality of Teacher-Education by strengt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ory and presence with new regulations.
This study inquires the revisions in Teacher-Education paradigm as the founding history of Reflect-in-Action, and analyzes the concepts of Reflection-in-Action, and the significance of Reflection-in-Action as an alternative approach of Teacher-Educat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Further more, this study elicits the teachers’ Character-Educational qualification through moral philosophy and moral psychology validation process of reflection and practice, which are the core concepts of Reflection-in-Action.
목차
Ⅰ. 서론
Ⅱ. 교사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Ⅲ. 반성적 실천주의의 개념 및 대안적 교사교육 접근으로서의 특징
Ⅳ. 반성적 실천주의에 기초한 교사의 인성교육적 자질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의미
- 학습자의 문학교육 경험 연구
- 뇌교육 기반 인성계발 통합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일제강점기 초등 ‘국사’ 교과서에서 ‘한국 강점 과정’ 서술 변화와 특징
- 직업계 고등학교 졸업자의 고교 전공 선택 유형과 고교 생활, 취업 간 관계 분석
- 지역 수준 도덕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교분석
- 대안적 교사교육 접근으로서 반성적 실천주의가 갖는 함의 탐색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서술형 문항에 대한 응답 경향을 통해 살펴 본 중학생의 사회과 법 영역 성취 특성
- 인권교육에 대한 실험연구 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부모 악성민원과 교권침해 문제의 재검토
- 가정-지역사회 연계 부모교육과 자조모임에 근거한 마음가치 부모성장지원 프로그램의 효과 : 장애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경감 및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중심으로
- 역량 중심 초등학교 학부모교육을 위한 학부모 및 교사 요구도 분석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