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 수준 도덕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교분석
이용수 125
- 영문명
- Comparative Analysis of Local Moral Education Curriculums
- 발행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조진호(Jo Jin ho) 정환희(Jeong Hwan hui)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65집, 95~11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4.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지역 수준 도덕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교분석을 그 목적으로 한다. 국가 수준 교육과정이 갖는 획일성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지역 단위 수준의 교육과정 재구성이 요청된다. 그간 도덕윤리과 교육학계에서 실제 도덕과교육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는 지역 수준의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점을 고려해보면, 본 연구는 충분한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전국 17개 시도 교육청에서 고시한 교육과정 편성⋅운영지침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목표,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방법으로 대별하여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본 논문에서는 도덕과의 지역 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지속적인 주의 환기와 연구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se local moral education curriculums in Korea. To make up for the weak points in the national moral education curriculum, it is important to reconstruct it in a local level. Because in the academic community of moral education, a study of local moral education curriculums has not been performed at all, to research them is valuable. The objects of this thesis is 17 local moral education curriculums released by all the local offices of education in Korea. We analysed them focusing purposes, teaching methods and assessment methods. Concludingly, we assert that to remind and research local moral education curriculums is essential in order to make them more concrete and practical in schools and classrooms.
목차
Ⅰ. 문제제기
Ⅱ. 지역 수준 교육과정의 의미
Ⅲ. 분석 방법 및 범위
Ⅳ. 도덕과 교육과정의 지역화 경향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의미
- 학습자의 문학교육 경험 연구
- 뇌교육 기반 인성계발 통합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일제강점기 초등 ‘국사’ 교과서에서 ‘한국 강점 과정’ 서술 변화와 특징
- 직업계 고등학교 졸업자의 고교 전공 선택 유형과 고교 생활, 취업 간 관계 분석
- 지역 수준 도덕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교분석
- 대안적 교사교육 접근으로서 반성적 실천주의가 갖는 함의 탐색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서술형 문항에 대한 응답 경향을 통해 살펴 본 중학생의 사회과 법 영역 성취 특성
- 인권교육에 대한 실험연구 동향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