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의미
이용수 393
- 영문명
- Features and Meanings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2015 Revision National Curriculum
- 발행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류준경(Ryu Jun Kyung)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65집, 119~14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4.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의미를 한문과 교육과정 변천의 역사적 맥락에서 검토한 것이다. 검토 결과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은 교과 성격 부분 기술의 확대, 내용체계의 변경, 성취기준의 감소, 교수·학습방법의 강화 등이 주요한 특징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성격 부분에서 ‘한자어’ 교육에 대한 강조가 부각되어 있었고, 내용체계에서는 한자 어휘 교육의 주요 내용으로 일상용어 및 타교과 학습 용어를 강조하는 면모를 보여, ‘한자어’ 교육을 보다 강조하는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함께, ‘한문과 인성’이라는 핵심개념이 새롭게 추가되고, 그에 대한 성취기준까지 제시되어 한문과 교육에서 인성 관련 교육을 보다 강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내용체계의 변경에서 문화 영역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보다 강조된 ‘한자어’ 교육 및 인성 교육과 관련하여 교육의 구체적인 범위와 방향 및 성취기준의 구체화, 교수학습방법의 개발 등이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examines the features and meanings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2015 revision national curriculum,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changes in national curriculum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s a result of examination, main distinct features of the Classical Chinese education 2015 revision are found to include the following: expanded description in subject characteristics, modification in the system of content, reduction in standard of accomplishment, and reinforcement of teaching-learning methods. In particular, emphasis is put on ‘Sino-Korean words’ education
in terms of subject characteristics, and this peculiarity can also be found in that everyday terms and study terminologies of other subjects are stressed as main materials of Classical Chinese vocabulary education in the
system of content. Moreover, it can be found that ‘Sino-Korean words’ education and personality-related teachings are further highlighted withi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s the core concept ‘Classical Chinese and human nature’ is newly added with proposal of its standard of accomplishment. Also, ‘Area of Culture’ is found to be underscored constantly in the system of content. With larger emphasis put on ‘Sino-Korean words’ and personality education, it can be said that specification on detailed scope, direction and standard of accomplishment, along with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methods are in need.
목차
Ⅰ. 들어가며
Ⅱ.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특징
1. 교과 성격 기술의 확대와 교수학습 및 평가의 상세화
2. ‘성격’ 부분 기술의 특징 – ‘한자어’ 교육의 강조와 핵심역량의 제시
3. 내용체계의 재구조화
4. 성취기준의 간략화와 정의적 영역의 강화
5. 상세하고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법의 제시
Ⅲ.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의미
- 학습자의 문학교육 경험 연구
- 뇌교육 기반 인성계발 통합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일제강점기 초등 ‘국사’ 교과서에서 ‘한국 강점 과정’ 서술 변화와 특징
- 직업계 고등학교 졸업자의 고교 전공 선택 유형과 고교 생활, 취업 간 관계 분석
- 지역 수준 도덕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교분석
- 대안적 교사교육 접근으로서 반성적 실천주의가 갖는 함의 탐색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서술형 문항에 대한 응답 경향을 통해 살펴 본 중학생의 사회과 법 영역 성취 특성
- 인권교육에 대한 실험연구 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부모 악성민원과 교권침해 문제의 재검토
- 가정-지역사회 연계 부모교육과 자조모임에 근거한 마음가치 부모성장지원 프로그램의 효과 : 장애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경감 및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중심으로
- 역량 중심 초등학교 학부모교육을 위한 학부모 및 교사 요구도 분석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