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일 관계에서 본 북한선교 정책전략 : 북한의 인권과 탈북민 문제를 중심으로
이용수 400
- 영문명
- Looking at the Strategic Policies of North Korea Mission in the Lens of Unification: Focusing on North Korean Human Rights and Problems Concerning Defectors
- 발행기관
- 한국선교신학회
- 저자명
- 허성업(Sung Up Huh)
- 간행물 정보
- 『선교신학』제42집, 323~358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8.01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의 목표는 남북한이 정치적으로나 경제적으로 하나가 되어 통일국가를 이루는 것이다. 통일 이전이라도 남북한이 평화를 이루어 서로 화해하고 협력하여 함께 살아야 한다. 109년 전 평양 대 부흥을 경험하고 제2의 예루살렘으로 불린 그곳이 다시 회복되어 전 세계에 평화의 마음을 가지고 영혼들을 살리며, 다시 오실 예수 그리스도를 전하는 나라가 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인간 삶의 본질적인 변화를 추구하는 기독교선교에 있어서 북한 동포들의 사고방식이나 생활습관 등의 환경적인 요소들을 연구하고 분석하는 것은 필수불가결한 요소일수밖에 없다.
진정한 의미의 민족화해를 이룩하기 위해 화해와 통일을 목표로 북한의 인권과 탈북자 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남북관계에서 한반도 통일의 전망을 제시한다. 한국교회의 중재자적 접근은 정의와 진실에 근거한 평화와 조화를 이루는 일에 매우 중요할 것으로 강조된다. 통일 선교정책의 평화 이해와 전략은 북한선교정책전략에서 북한 인권문제에 대한 접근과 모색을 통하여 북한 인권의 실태, 북한 이탈주민, 탈북여성의 인신매매와 탈북고아, 요덕수용소, 북한 인권법을 중심으로 전개했으며, 북한선교정책 유형에서 남북관계의 이중성을 어떻게 전환시켜서 접목하는지를 서술하였다.
선교의 유형들이 다양한 창구로 변함에 따라 북한선교의 기독교정체성에 관한 문제가 서서히 제기되었다. 또한 지구, 세계화로 대변되는 오늘의 시대는 모든 것이 자본의 논리로 관찰되고 있다. 이로 인해 가난한 국가들과 가난한 사람들의 어려움은 더욱 가중되고 있고, 엄청난 분단비용을 감수해야 하는 한국과 북한의 국민들 역시 어려운 상황가운데 놓여있다. 이러한 시점에 우리 기독교인들은 북한선교에 힘을 모아야 한다. 북한선교는 예수 그리스도의 선교명령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민족의 생존적 차원에서, 자유라는 미명 아래 당연시되는 무한 경쟁을 도전하는 차원에서 기독교인들의 중요한 과제이다.
그러므로 한국교회는 미래 북한선교사역에 있어서, 먼저 북한을 더 이상 한국과 북한이 서로 대립되는 관계로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미래를 함께 주도할 동반자로 인식해야 한다. 그렇게 될 때 한국교회 미래는 민족 모두에게 진정한 희망이 될 것이며, 통일정책에 북한선교 정책이 기독교인들의 북한선교는 큰 의미를 창출할 것으로 본다.
영문 초록
Our main objective is that North Korea and South Korea become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a united country. Even before the unification occurs, both North Korea and South Korea must reconcile their difference and work to live with each other. 109 years ago, the city people called the second Jerusalem, Pyongyang, experienced a huge revival and therefore the need to restore peace in this place is vital for saving the souls and proclaiming the return of our Lord Jesus Christ.
Additionally, Christian Mission seeks a transformation in a person’s life. Therefore, understanding and analysing the key reasons to the North Korean way of thinking and lifestyle is undeniably a must when looking at the Christian Mission perspective.
In order to accomplish a nation-wide reconciliation and unific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 proposal of unification based on the study of North Korean human rights and problem concerning defectors must be overseen.
When the Korean Church can approach this matter in truthful and righteous manner, it can act as a very important mediator.
The Understanding of peace and strategy by Unification Mission policy is developed by the strategic policies of North Korea Mission concerning the problems and the realities in North Korean human rights and the search for an improvement, North Korean breakaways, illegal trafficking of defector women and orphans, yoduk prison camp, dualism in North and South Korean relations, etc.
The problems of North Korean mission concerning the identity of christianity can be seen by the change in lens of diverse missions .
The the globalized world is perceived in the lens of capital logic. Poorer countries and its people are becoming evermore poorer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nancial traits of North Korea and South Korea has caused a problem. In this aspect, christians must seek to help North Korea mission. It is not only a commandment from Jesus Christ, but also an important part of both nations’ survival and freedom which should also be a task for every christians.
Therefore, the Korean Church must strive and work for the unification of Korea as a mediator. Only then, can the church truly be a hope to the people of Korea and the values of North Korean mission policies must be created in every christians.
목차
한글초록
Ⅰ. 들어가는 글
Ⅱ. 남북관계의 이해와 통일선교정책 고찰
Ⅲ. 나가는 말
Abstract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기 이북지역 선교에서 존 로스(John Ross)의 한글 성서가 주는 의미 : 성서번역과 수용계층의 관계를 중심으로
- 구약의 선교적 해석과 실제 : 오경과 역사서를 중심으로
- 모국방문 프로그램을 통한 한필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문화정체성 형성
- 이슬람의 세계 다와(선교) 전략과 대응
- M. M. 토마스 신학의 배경과 세 단계의 발전 과정
- 통일 관계에서 본 북한선교 정책전략 : 북한의 인권과 탈북민 문제를 중심으로
-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와 바울 : ‘바울의 선교’에서 ‘선교의 바울’로의 관점전환을 모색하며
- 미로슬라브 볼프의 하강의 역기능에 대한 전도학적 연구
- 한국교회 비즈니스 선교 모델의 분석과 적용
- 성육신의 관점에서 본 선교적 교회의 상황화
- 애굽기의 시종 주역들과 타문화권 선교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율법과 복음의 관계 - 루터와 칼빈과 ‘바울에 관한 새 관점’의 입장 비교를 통한 연구
- 개인구원을 넘어 사회적 칭의론을 향하여 - 구원론의 지평 확대
- 코메니우스의 구원론 - 믿음, 소망, 사랑과 이신칭의와의 관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