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구약의 선교적 해석과 실제 : 오경과 역사서를 중심으로
이용수 345
- 영문명
- A Study on the Missional Interpretation and Reality of the Old Testament: Focused on the Pentateuch(Torah) and the Historical Books
- 발행기관
- 한국선교신학회
- 저자명
- 김은수(Eun Soo Kim)
- 간행물 정보
- 『선교신학』제42집, 95~11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8.0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가 유대교와 기독교의 메시아에 대한 해석의 차이를 무시하고 성경을 메시아의 약속과 성취라는 도식으로만 해석한다면, 구약의 내용을 심각하게 제한하는 것이다. 또한 구원사에서 이스라엘의 선택과 언약, 열방을 향한 하나님의 선포와 이스라엘의 역할 등을 간과하는 것이다. 가령 메시아 예언의 핵심인 구약의 하나님의 ‘종’은 개인과 공동체 모두를 가리키고 있어서 ‘종’을 철저히 개인으로 해석하는 기독교와는 큰 차이가 있다. 그러나 이 종이 개인이든 공동체이든 공히 선교적 사명을 가진 것은 분명하기 때문에 ‘종’에 대해 선교적 해석을 할 때 그 공통점을 발견하게 된다.
열방의 복의 근원인 아브라함의 언약과 하나님의 의로운 통치를 실현하는 다윗의 언약이 약속에 따라 보냄 받은 그리스도에게로 이끄는 하나의 이야기(메시아적 해석)는 결국 그리스도로부터 모든 민족에게 나아가는 또 하나의 이야기(선교적 해석)와 합류된다. 그러므로 성경전체를 읽는 해석학적 방향은 메시아적이면서 동시에 선교적이어야 한다. 십자가에서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를 성취한 예수에게로 모아진 초점은 예수로부터 온 세상으로 파송(Missio Christi)되는 해석학적 체계가 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모세 오경을 ‘선택,’ ‘출애굽,’ ‘율법’이라는 주제어를 가지고 선교적 해석을 하고, 구약의 역사서를 ‘하나님의 주권’과 ‘언약’이라는 주제어를 가지고 선교적 해석을 시도하고 있다. 이것은 구약에서 선교와 관련된 구절을 찾아 선교의 기초를 놓는 것이 아니라 구약성경 전체를 ‘하나님의 선교’의 이야기라는 해석학적 틀로 성경의 기초를 놓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missional interpretation and reality of the old testament, based on the Pentateuch and the Historical Books. This has chosen to try the missional interpretation with the main theme words such as ‘choice,’ ‘Exodus’ and ‘commandments’ in the Tora, and also ‘God’s sovereignty’ and ‘covenant’ in the Historical Books of the old testament. It means that the old testament is a story of ‘Missio Dei.’
H. H. Rowley said that the old testament is the book of missionary work, for it is the word of God trying to save all the human beings and show the salvation of all the races through Israel. He understood the Bible on the perspective of ‘Heilsgeschichte.’ But his perspective has many limits in the light of the old testament’s scriptures. However, Christopher J. H. Wright insisted that the Bible is the grand narrative like the product of Missio Dei. He thought the Bible itself is the product and testimony of God’s missionary work. Accordingly, the hermeneutics direction for reading all the Bible should be something messianic and missional and Missio Christi.
The important theme words in the Pentateuch are ‘choice,’ ‘Exodus,’ and ‘commandments.’ These words are chosen for the missional interpretation of the old testament. They mean that God chooses Israel, Abraham and Moses, makes Israelites escape from Egypt and establishes the law for seventy years of age to Israelites for the purpose of his missionary work. Also, in the Historical Books of the old testament, God uses his sovereignty and covenant for his missionary work. So, he appoints Samuel, Saul and David as his servants for Israel, and uses his covenant. The purpose of God is to expand his kingdom and participate himself in his missionary work.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the Bible is written on the basis, which is the story of Missio Dei hermeneutically.
목차
한글초록
Ⅰ. 구약에서 선교를 말해야 하는 이유
Ⅱ. 구약의 선교적 해석의 난제(難題)
Ⅲ. 구약의 선교적 해석의 실제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기 이북지역 선교에서 존 로스(John Ross)의 한글 성서가 주는 의미 : 성서번역과 수용계층의 관계를 중심으로
- 구약의 선교적 해석과 실제 : 오경과 역사서를 중심으로
- 모국방문 프로그램을 통한 한필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문화정체성 형성
- 이슬람의 세계 다와(선교) 전략과 대응
- M. M. 토마스 신학의 배경과 세 단계의 발전 과정
- 통일 관계에서 본 북한선교 정책전략 : 북한의 인권과 탈북민 문제를 중심으로
-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와 바울 : ‘바울의 선교’에서 ‘선교의 바울’로의 관점전환을 모색하며
- 미로슬라브 볼프의 하강의 역기능에 대한 전도학적 연구
- 한국교회 비즈니스 선교 모델의 분석과 적용
- 성육신의 관점에서 본 선교적 교회의 상황화
- 애굽기의 시종 주역들과 타문화권 선교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율법과 복음의 관계 - 루터와 칼빈과 ‘바울에 관한 새 관점’의 입장 비교를 통한 연구
- 개인구원을 넘어 사회적 칭의론을 향하여 - 구원론의 지평 확대
- 코메니우스의 구원론 - 믿음, 소망, 사랑과 이신칭의와의 관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