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게임 레벨 조절을 위한 오브젝트 변화의 인지도 분석
이용수 13
- 영문명
- Analysis of Object Status Recognition for Game Level Design
- 발행기관
- 한국컴퓨터게임학회
- 저자명
- 현혜정(Hye jung Hyun) 김태식(Tae sik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제11호, 100~105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공학 > 컴퓨터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게이머는 몰입도의 질적 수준이 높은 게임을 선호하며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게임의 질적 수준을 좌우하는 디자인 요소로서 레벨 조절은 게임의 활용도를 높이는 필수적인 요인이 된다. 그러나 레벨을 얼마만큼 조절해서 게임의 밸런스를 유지해야 할지에 대한 어려운 문제를 가지고 있다. 게이머가 인지할 만큼 큰 인위적인 조절을 하게 되면 게이머가 쉽게 흥미를 잃게 되고 반대로 너무 적은 조절은 그 효과를 기대할 수 가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한 방법으로 게이머들이 플레이시 오브젝트가 변화하는 정도의 인지도를 측정한 후 해상도로 나타내어 레벨 조절에 객관적 지표로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별 해상도를 측정하는 방법과 그 결과를 활용하는 방법에 관해 다루며 제안된 방법은 여러 종류의 게임 개발과 balancing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Gamers prefer a game of high quality in dedication and tend to play it constantly. From this point of view, as an element of design the level adjustment which influences a level of the quality of games becomes a primary factor in making use of games. However, there still exist some problems of how the level of games is fixed to some degree and then the balance is maintained. Gamers could lose interest in playing games with large amount of artificial adjustment. In contrast, a little adjustment could bring no effects at all. As a solution of the problem, after the recognition of the changing status of objects is measured by gamers, the factor might be utilized for game balancing. In this paper, the method which takes an measurement of the personal resolution and then utilizes the result is dealt with. The proposed method in this research could be applied in developing various games and game balancing.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실험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터넷 배너광고 제작 방법 중 컴퓨터그래픽의 역할
- 가상환경에서의 정원수 모델링에 관한 연구
- 학습부진아의 도형개념 형성을 위한 교육용 게임의 개발
- 믹스미디어 디자인을 이용한 모바일 콘텐츠 개발
- MMOG 지원을 위한 P2P 기반 미들웨어 설계
- 진화 알고리즘을 적용한 게임 난이도 조절
- 최대 흐름 정합을 기반으로 하는 게임 시스템 및 그것의 캐릭터 특성 분석 방법
- 게임 이용에 따른 부모와 자녀들간의 가정문화 관계에 관한 연구
- 온라인게임 성공요인 도출에 관한 연구
- 게임 레벨 조절을 위한 오브젝트 변화의 인지도 분석
- 복지지향적 사이버 인증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의 설계 및 구현
- 만화적 질감 표현을 위한 카툰 렌더링
- 실시간 렌더링을 위한 Ambient Occlusion 텍스처 생성
- 미주 시장에서의 온라인 게임 서비스의 성공 요인에 대한 연구
- The effects of computer games for young children
- 임베디드 게임기를 위한 블루투스 위치센서기반 3차원 공간입력 장치의 설계 및 구현
- 유비쿼터스 전시관에서 개인화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PDMA 시스템 개발
- 가상과 현실을 결합하기 위한 자동 동적 크로마키 구현에 관한 연구
- 캐릭터의 인지도와 선호도에 따른 소비경향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컴퓨터학분야 BEST
- 지도서비스를 이용한 위치 기반 관광 빅데이터의 시각화
- 공서비스 공급 관점에서 살펴본 비의료 건강관리서비스 인증 시범사업과 의료민영화 논쟁
- 인적 특성을 반영한 안전 정보디자인의 개념과 특징
공학 > 컴퓨터학분야 NEW
- 스마트미디어저널 제14권 제6호 목차
- ASD 예측을 위한 연합학습 기반 시선 추적 이미지 분류 모델 구축
- A review of the clinical implementation of a transparent orthodontic system utilizing Korean technolog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