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궁마사지가 여대생의 월경전증후군 및 월경통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42
- 영문명
- Effect of Gung Massage on Premenstrual Syndrome and Dysmenorrhea in Femal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김성자(Sung Ja Kim) 김주연(Ju Yeon Kim) 한채정(Chae Jeong Han)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17권 제2호, 203~21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5.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effect of hypertermic therapy, abdominal massage
and Gung massage on improvement of premenstrual syndrome, dysmenorrhea and body temperature.
The study subjects were 30 college women with age 20’s who agreed to participated in this study
during 8-week period. All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10 hyperthermic dome group
(HD group), 10 abdominal massage group (AM group) and 10 Gung massage group (GM group). The
HD group (20 minutes hyperthermic dome), AM group (20 minutes abdominal massage) and GM group
(20 minutes Gung therapy) were treated once a week for total 8 times. We measured menstrual distress
questionnaire (MDQ), visual analogue scale (VAS) and body temperature. After 8 weeks, response of
autonomic nervous system was significantly improved (P<0.05), and body temperature in navel, upper
abdomen, lower abdomen, right abdomen and left abdome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in
HD group. In AM group, pain, response of autonomic nervous system and change of ski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In GM group, negative emotion, behavior change, concentration, pain,
response of autonomic nervous system, water retention and change of skin were significantly improved
(P<0.05). We observed a increase in body temperature of navel, lumbar region and caucal region in
AM group, and all point in GM group (P<0.05). In both group, VA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8 weeks (P<0.05). Among three groups, the MDQ on change of skin, and the changes of body temperature
in navel, upper abdomen, lower abdomen, right abdomen, lumbar region, caucal region and right hip,
and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GM group than other groups (P<0.05). Also, the change in
VAS differed, with the GM group having the largest decrease than HD and AM group (P<0.001).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의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NCS를 활용한 전문대학의 헤어미용교육 실태분석 및 활성화 방안
- 뷰티 서비스 환경이 서비스가치 및 고객만족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미용 전문 멀티숍 이용 동기 및 재방문의도 연구
- 이용실의 이용실태에 따른 감각 마케팅과 고객만족도
- 피부관리실 유형별 이용실태 및 이용만족도에 관한 연구
-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뷰티 트렌드의 메이크업 색채 표현 분석
- 네일 서비스 업체의 서비스 스케이프 및 인적 서비스가 고객 반응에 미치는 영향
- 컬러테라피를 활용한 사상체질별 힐링 헤어컬러 적용 방안
- 미용전공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궁마사지가 여대생의 월경전증후군 및 월경통에 미치는 영향
- 아세톤이 마우스 피부 조직의 ROS에 미치는 영향
- 미용전공 대학생의 봉사활동과 자아존중감 및 직업존중감의 관계연구
- 보웬테라피의 요통 개선효과
- 헤어미용 신입 종사자의 직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와의 인과관계 연구
- 여성의 자기외모인식과 헤어스타일 행동에 관한 연구
- 카제인을 이용한 접착제의 가능성 평가
- UV차단용 이산화티탄 합성 및 화장품 소재로의 응용
- 흡연에 따른 모발중의 필수미네랄과 유해중금속 함량 변화
- 방한 일본인의 발 관리 샵 유입경로에 따른 서비스 품질 만족도 및 재방문 의도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