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s of Bowen Therapy on Low Back Pain Relief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박소현(So Hyun Park) 김미영(Mi Young Kim) 문덕환(Deog Hwan Moon)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17권 제2호, 117~129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5.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Bowen therapy on low back pain in the present day. For this, a total of 30 women in their 30-40s who received therapy from an aesthetic salon were divided into a Bowen Therapy group and relaxation group.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before therapy and after the receiving of therapy once, twice and 3 times, using a Visual Analogue Scale (VAS) and Likert scale. The study results found the following: First,
according to analysis of the severity of pain felt by the respondents by general characteristics, those in their 40s had greater pain than those in their 30s. In addition, the severity of pain felt by the respondents was greater when they had prior treatment in a hospital. Second, the severity of pain felt by the respondents between the Bowen therapy group and relaxation group measured with the VAS diminished over time compared to the level before therapy. The difference in the severity of pain by time of therapy given significantly decreased. However,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Bowen therapy group measured using the VAS, the severity of pain decreased in areas including impact on daily living, pain at night, inconvenience in the use of lower back, inconvenience in walking and inconvenience at work after therapy was received three times. Third, a difference in the severity of low back pain measured using a Likert scale before and after therapy significantly decreased in both the Bowen therapy and relaxation groups and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terms of therapy metho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고찰
Ⅳ.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NCS를 활용한 전문대학의 헤어미용교육 실태분석 및 활성화 방안
- 네일 서비스 업체의 서비스 스케이프 및 인적 서비스가 고객 반응에 미치는 영향
- 흡연에 따른 모발중의 필수미네랄과 유해중금속 함량 변화
- UV차단용 이산화티탄 합성 및 화장품 소재로의 응용
- 이용실의 이용실태에 따른 감각 마케팅과 고객만족도
- 컬러테라피를 활용한 사상체질별 힐링 헤어컬러 적용 방안
- 미용전공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여성의 자기외모인식과 헤어스타일 행동에 관한 연구
- 아세톤이 마우스 피부 조직의 ROS에 미치는 영향
- 미용전공 대학생의 봉사활동과 자아존중감 및 직업존중감의 관계연구
- 헤어미용 신입 종사자의 직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와의 인과관계 연구
- 보웬테라피의 요통 개선효과
- 카제인을 이용한 접착제의 가능성 평가
- 방한 일본인의 발 관리 샵 유입경로에 따른 서비스 품질 만족도 및 재방문 의도에 관한 연구
- 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의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뷰티 서비스 환경이 서비스가치 및 고객만족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미용 전문 멀티숍 이용 동기 및 재방문의도 연구
- 피부관리실 유형별 이용실태 및 이용만족도에 관한 연구
-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뷰티 트렌드의 메이크업 색채 표현 분석
- 궁마사지가 여대생의 월경전증후군 및 월경통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