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용전공 대학생의 봉사활동과 자아존중감 및 직업존중감의 관계연구
이용수 164
- 영문명
- Relationship between Volunteer Work and Self-esteem and Job-esteem in Undergraduate Beauty Majors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오윤경(Yun Kyoung Oh)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17권 제2호, 93~10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5.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to guide volunteer work and career paths for students by understanding the degree and correlations of volunteer work, self-esteem and job-esteem, targeting 359 undergraduates majoring in beauty in Busan and the Gyeongnam reg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first, beauty major undergraduates mostly had experience in volunteering, and a lot of these opportunities were related to their major. The participants’ self-esteem showed an average of 3.55 points, which was the medium level, and their job-esteem was 3.12 points. Second, in the results of understanding the differences of self- esteem and job-esteem among this population
in accordance with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volunteer work, in the case of a 2-year course, students with a high level of economy and school records, and the experience of volunteer work including beauty services showed a high self-esteem. In the case of the 2-year course, students with a medium level of economy and high level of school records showed high job-esteem. Third, beauty major undergraduate beauty volunteerism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while self-esteem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esteem. Thus,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value of their self-worth and pride their jobs through student volunteer work related to their major.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의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NCS를 활용한 전문대학의 헤어미용교육 실태분석 및 활성화 방안
- 뷰티 서비스 환경이 서비스가치 및 고객만족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미용 전문 멀티숍 이용 동기 및 재방문의도 연구
- 이용실의 이용실태에 따른 감각 마케팅과 고객만족도
- 피부관리실 유형별 이용실태 및 이용만족도에 관한 연구
-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뷰티 트렌드의 메이크업 색채 표현 분석
- 네일 서비스 업체의 서비스 스케이프 및 인적 서비스가 고객 반응에 미치는 영향
- 컬러테라피를 활용한 사상체질별 힐링 헤어컬러 적용 방안
- 미용전공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궁마사지가 여대생의 월경전증후군 및 월경통에 미치는 영향
- 아세톤이 마우스 피부 조직의 ROS에 미치는 영향
- 미용전공 대학생의 봉사활동과 자아존중감 및 직업존중감의 관계연구
- 보웬테라피의 요통 개선효과
- 헤어미용 신입 종사자의 직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와의 인과관계 연구
- 여성의 자기외모인식과 헤어스타일 행동에 관한 연구
- 카제인을 이용한 접착제의 가능성 평가
- UV차단용 이산화티탄 합성 및 화장품 소재로의 응용
- 흡연에 따른 모발중의 필수미네랄과 유해중금속 함량 변화
- 방한 일본인의 발 관리 샵 유입경로에 따른 서비스 품질 만족도 및 재방문 의도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