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rategy of Japanese Colonial Rule and Shinto Shrine - Especially from a Geographical Point of View -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박경수(Park Kyung Soo)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日本語文學 第72輯, 501~5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2.28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日帝强占期の神社政策は新たな神社を創設することと既に存在された神社を制度圏内に受入れ、国立の方向に推進された。
新しく建立される神社においては都市を鎮圧し、都会の人々を支配しやすい良き場所を探しだして、視覚的な景観を再現し、既存の神社においては國家神道に合わせ、外観を変形させ、祭神として天皇家の祖先を安置する方向に施されつつあった。
强占初期の日帝は朝鮮神宮を建立して、朝鮮植民地の支配イデオロギーの頂点にしておいた。1930年代の後半には内鮮一体のシンボルとして扶餘神宮の建立と、その地域の辺りに神都建設を計画した。これで植民地である朝鮮にあるすべての神社をネットワーク化して、戦略的な支配の記号を築き上げようとしたのである。
ここで注目すべきことは、神社建立の空間的な拡大の過程が鉄道と連携される日本の支配戦略と一致されるということである。朝鮮植民地の効果的な經營のために敷設された鉄道が海岸と内陸の橋頭堡を連結される視覚的なネットワークだったら、神社はこの橋頭堡が安全に確保されたことを記念する視覚的·象徴的なネットワークであったといえよう。
영문 초록
Since the colonial rule of Japan, the policy of Shinto Shrine of Japan had been promoted in two ways as a creation of a new Shinto Shrine and an institutionalization of the existing Shinto Shrine.
New Shinto Shrine was built mainly for the visual landscape for the dignity of a city, the worship of king and foreign invision of Japan and the place of a Ideology education for the colonial rule and militarism and the existing Shinto Shrine had been transformed into the appearance matching with the State Shinto(国家神道) and for worship dedicated to the ancestral spirits of imperial family.
Accordingly, early in the Korean occupation by Japan, the construction of Chosun Shinto Shrine(朝鮮神宮) in Korea further strengthened the ruling ideology in colony, and Buyeo Shinto Shrine(扶餘神宮) as a symbol of the Integration of Japan and Korea(內鮮一體), which was built in late 1930s created a foundation of strategic domination by networking all of the Shinto Shrines in Korea through planning the construction site for Shinto Shrine.
In particular, it is noteworthy that the spatial expansion process of these Shinto Shrines matched the ruling strategy of Japan in connection with the railways in Korea.
While the railways contributed to the physical network connecting the coasts and in lands for effective colonial rule, the Shinto Shrine formed a network tool for ideological establishment.
목차
요약
1. 머리말
2. 식민지 神道政策의 거점 확보
3. 전략적 지배기호와 신사 네트워크
4.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1930年代初期の大衆娯楽雑誌における女性像
- 섬(晱)효자 설화의 한일비교 연구
- 内村鑑三와 遠藤周作
- 사역문에 있어서 한 · 일 대조를 통한 고찰
- 일본어학습자의 원인· 이유의 접속표현 습득 연구
- 北原白秋の歌謡に関する一考察
- 芥川竜之介「횻도코」論
- 「ウク」と「ウカブ」の意味分析と意味拡張の様相
- 若年層における談話展開の方法の地域差
- 일본의 독도 침탈과 일본 식민관료의 역할
- 『겐지모노가타리(源氏物語)』의 현대적 수용 과정에 보이는 작가의 문제
- 秦氏의 도래전승 및 명의고찰
- ポライトネスの観点から見た日本語の説得ストラテジー
- 表現意圖를 나타내는 韓國人日本語 學習者의 終助詞 ‘ね’에 관한 音響音聲學的인 特徵
- 山上憶良의 貧窮問答歌論
- 「조시타비(女子旅)」에 나타난 일본여성의 관광트렌드 특성 연구
- 詩誌『近代詩苑』考察
- 일제의 식민지 지배전략과 神社
- 무라카미 하루키의 ‘공백’에 대한 텍스트론적 접근
- 리비 히데오 『성조기가 들리지 않는 방』 분석
- 미치쓰나노하하의 이계(異界)체험과 문학적 달성
- e-learning을 통한 자율학습의 기초적 연구 및 실천 사례
- 「そんな」と「そういう」の後接名詞
- 플립러닝(Flipped Learnig)을 활용한 일본어교육 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분야 BEST
- 예비 일본어 교원을 위한 디지털 교육의 필요성과 향후 방향 - 수업사례와 학습자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 한 · 일 양국의 음식관광 세계화 전략에 관한 고찰
- 日本語の無生主語中間構文と降格受動構文の生態心理学的研究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분야 NEW
- AIを活用した文字分析の展望 - 古代記録物の中の判読不能部分を中心に
- コロナ禍の新聞小説と現代社会の断層 - 川上未映子『黄色い家』を中心に
- 일본의 복신신앙(福神信仰) 고찰 - 다이코쿠텐(大黑天)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