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cognition on the different world of Michitsunanohaha and her Literary Achievement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허영은(Huh Young Eun)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日本語文學 第72輯, 439~45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2.28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本論文は、『蜻蛉日記』の著者道綱母が数回の参拝旅行を通して、死と関連した世界を経験し、そこから新たなエネルギを得て帰ってきた過程をいくつかの端緒を中心に考察してみようと思う。例えば、石山詣での際のさくな谷は、冥界の入り口とされていたし、宇治は‘この世の果て’と言われ、当時の人にとって死の空間として認識されていた。それに加え、日記の上巻、母の死の時の記述には、死んだ人に会えると言われる‘みみらく伝承’について述べている。このような死と関連した民間信仰への関心やその地での体験は、初瀬詣でや石山詣でで見られる流麗な文章となり、『蜻蛉日記』に神秘感と共に、生き生きとした生動感を与えている。結局、道綱母は異界での体験によって、自分自身を省み、自我の覚醒と自分の生に対する新しい覚悟を持つ契機としたと思われる。その結果、『蜻蛉日記』は自照性の豊富な作品に完成され、後の『源氏物語』にまで影響を与えたと思う。
道綱母は夫兼家とうまく行かない結婚生活のため苦しんだが、その苦しみを死の世界への好奇心という文学的感受性に転換させ、自ら救いの道を開いたと思われる。そして、『蜻蛉日記』はそのような救いの過程を見せてくれる作品に他ならないと思う。
영문 초록
Michitsunanohaha experiences the different world getting out of the daily life through pilgrimages several times. The new experiences in space out the capital awake her spirit world which lead to a literary sensibility of the world. She drops by Valley of Sakuna and Uji on the way of pilgrimage to Hatsuse, visits places which related to death in her pilgrimages of Ishyama. She also has the interest on the oral tradition of Mimiraku which meets the deceased after her mother's death.
Thus, her visit of the bridges of Uji and Seta, and the valley of Sakuna, leads to nature imagery and harmony delicate and fluent sentences like the pilgrimage to Hatsuse and Ishyama, as a result, they inspired mystery and liveliness into 『Diary of Gagero』as a role.
In the result, the new experiences in the different world let Michitsunanohaha’s arousal and ego reflect on her life and have a new mind. It can do that, laying the groundwork for creating the contemplative world of diary.
목차
요약
1. 머리말
2. 신성한 공간으로서의 이계
3. 이계로의 여행
4.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1930年代初期の大衆娯楽雑誌における女性像
- 섬(晱)효자 설화의 한일비교 연구
- 内村鑑三와 遠藤周作
- 사역문에 있어서 한 · 일 대조를 통한 고찰
- 일본어학습자의 원인· 이유의 접속표현 습득 연구
- 北原白秋の歌謡に関する一考察
- 芥川竜之介「횻도코」論
- 「ウク」と「ウカブ」の意味分析と意味拡張の様相
- 若年層における談話展開の方法の地域差
- 일본의 독도 침탈과 일본 식민관료의 역할
- 『겐지모노가타리(源氏物語)』의 현대적 수용 과정에 보이는 작가의 문제
- 秦氏의 도래전승 및 명의고찰
- ポライトネスの観点から見た日本語の説得ストラテジー
- 表現意圖를 나타내는 韓國人日本語 學習者의 終助詞 ‘ね’에 관한 音響音聲學的인 特徵
- 山上憶良의 貧窮問答歌論
- 「조시타비(女子旅)」에 나타난 일본여성의 관광트렌드 특성 연구
- 詩誌『近代詩苑』考察
- 일제의 식민지 지배전략과 神社
- 무라카미 하루키의 ‘공백’에 대한 텍스트론적 접근
- 리비 히데오 『성조기가 들리지 않는 방』 분석
- 미치쓰나노하하의 이계(異界)체험과 문학적 달성
- e-learning을 통한 자율학습의 기초적 연구 및 실천 사례
- 「そんな」と「そういう」の後接名詞
- 플립러닝(Flipped Learnig)을 활용한 일본어교육 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분야 BEST
- 예비 일본어 교원을 위한 디지털 교육의 필요성과 향후 방향 - 수업사례와 학습자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 한 · 일 양국의 음식관광 세계화 전략에 관한 고찰
- 日本語の無生主語中間構文と降格受動構文の生態心理学的研究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분야 NEW
- AIを活用した文字分析の展望 - 古代記録物の中の判読不能部分を中心に
- コロナ禍の新聞小説と現代社会の断層 - 川上未映子『黄色い家』を中心に
- 일본의 복신신앙(福神信仰) 고찰 - 다이코쿠텐(大黑天)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