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Uchimura Kanzo and Endo Shusaku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박상도(Park Sang Do)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日本語文學 第72輯, 273~29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2.28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本稿は近代の代表的なクリスチャンであった内村鑑三と遠藤周作の違いについて考察したものである。罪意識、死に対する認識、神に対する認識などの相違、特にこれらと関連した義の概念の相違について考察してみた。各々において両者にははクリスチャンであったという表面的な共通点とは裏腹に相当な違いがあることが分った。特に義という側面から見るとき、遠藤は内村の考え方を理解することのできない人であった。母性的なキリスト教を日本的キリスト教の解答として受け入れた遠藤において内村が説く義の宗教は受け入れがたいものであった。
遠藤が義の宗教としてのキリスト教に対する理解がなかった原因の一つに旧約聖書に対する相当な負担があったことが挙げられる。遠藤は厳格な神、犠牲を要求する神を本人にはしんどい神であると言っている。例えば、旧約のヨブ記の神は苦難の神、懲戒の神として出てくる。遠藤は優しくて寛大な神を望んでいたのでこういう苦難の神が受け入れがたかったのである。内村が日本伝統の武士道に基盤する犠牲の精神を持っていた反面、遠藤にはこういうのがなかったと言える。両者は生涯において日本的キリスト教を求めた者として知られているが、キリスト教においてのその内容的な側面は相当は違いがあったことを認めざるを得ない。
영문 초록
This study concern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odern representative Christians, Kanzo Uchimura and Shusaku Endo.
We examine a sense of guilt, awareness of death, different recognitions of the god, and particularly the different conceptions of righteousness. In these respects, the two writers, though they are both Christians, significantly differ from each other.
In particular, Endo has a completely distinct idea of righteousness from Uchimura. The religion of righteousness advocated by Uchimura is never congruent with Endo, as Endo accepts maternal Christianity as the appropriate model of Japanese Christianity.
Uchimura adopts the spirit of sacrifice based on the Japanese traditional chivalry, whereas such spirit is absent from Endo. Although Uchimura and Endo are both known to seek for Japanese Christianity, their differences in the conceptualizations of Christianity are undeniably clear.
목차
요약
1. 서론
2. 일본인의 사생관- 엔도 슈사쿠의 언급을 통해서
3. 우치무라 간조의 사생관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1930年代初期の大衆娯楽雑誌における女性像
- 섬(晱)효자 설화의 한일비교 연구
- 内村鑑三와 遠藤周作
- 사역문에 있어서 한 · 일 대조를 통한 고찰
- 일본어학습자의 원인· 이유의 접속표현 습득 연구
- 北原白秋の歌謡に関する一考察
- 芥川竜之介「횻도코」論
- 「ウク」と「ウカブ」の意味分析と意味拡張の様相
- 若年層における談話展開の方法の地域差
- 일본의 독도 침탈과 일본 식민관료의 역할
- 『겐지모노가타리(源氏物語)』의 현대적 수용 과정에 보이는 작가의 문제
- 秦氏의 도래전승 및 명의고찰
- ポライトネスの観点から見た日本語の説得ストラテジー
- 表現意圖를 나타내는 韓國人日本語 學習者의 終助詞 ‘ね’에 관한 音響音聲學的인 特徵
- 山上憶良의 貧窮問答歌論
- 「조시타비(女子旅)」에 나타난 일본여성의 관광트렌드 특성 연구
- 詩誌『近代詩苑』考察
- 일제의 식민지 지배전략과 神社
- 무라카미 하루키의 ‘공백’에 대한 텍스트론적 접근
- 리비 히데오 『성조기가 들리지 않는 방』 분석
- 미치쓰나노하하의 이계(異界)체험과 문학적 달성
- e-learning을 통한 자율학습의 기초적 연구 및 실천 사례
- 「そんな」と「そういう」の後接名詞
- 플립러닝(Flipped Learnig)을 활용한 일본어교육 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분야 BEST
- 예비 일본어 교원을 위한 디지털 교육의 필요성과 향후 방향 - 수업사례와 학습자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 한 · 일 양국의 음식관광 세계화 전략에 관한 고찰
- 日本語の無生主語中間構文と降格受動構文の生態心理学的研究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분야 NEW
- AIを活用した文字分析の展望 - 古代記録物の中の判読不能部分を中心に
- コロナ禍の新聞小説と現代社会の断層 - 川上未映子『黄色い家』を中心に
- 일본의 복신신앙(福神信仰) 고찰 - 다이코쿠텐(大黑天)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