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CG 산업 활성화 연구

이용수  262

영문명
CG industry enabled research - Focusing on the domestic industry status and the proposed introduction of cloud service
발행기관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저자명
김진해(Kim Jin-hae)
간행물 정보
『조형디자인연구』조형디자인연구 제18집 3권, 253~27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9.2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의 영화산업은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영화산업이 급성장한 배경으로는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도입과 대형 블록버스트 영화의 등장이다. 이들 영화들은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컴퓨터 그래픽 효과를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한국의 영상산업과 CG산업은 자본 부족, 인력 부족, 정부 정책의 부재 등으로 세계적인 시대의 흐름을 따라 가지 못하는 측면이 있다. 이런 현실 속에서 CG산업 활성화는 한국영화계가 해결해야할 과제이기도하다. 영화의 후반공정에서 컴퓨터 그래픽 작업의 효율성을 위해 고성능의 컴퓨터가 필요하며, 고성능 컴퓨터는 각각의 사업체에서 자체적으로 마련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CG산업 현장에서 효율을 증대시키고 시간을 절약하여 후반 작업비를 저렴하게 낮출 수 있는 시스템 구비 욕구는 점점 증대되 고 있다. 즉 컴퓨터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에 대한 요구가 점증하고 있다. 본 논문은 클라우드 시스템 도입에 관한 필요성이 증가하는 현실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관심과 정책이 미흡한 상태에서 한국 CG 산업 현황을 전반적으로 고찰하고, 국내업체 현황 및 해외업체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어서 해외 사례인 <픽사>와 <웨타 디지털>을 경우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클라우드 서비스의 도입의 필요성과 향후 정책적 과제에 관한 연구 를 목표로 하고 있다.

영문 초록

South Korea's film industry has continued to leap forward. Background With this burgeoning film industry is the emergence of large blocks burst and the introduction of a multiplex cinema films. These films are actively using the computer graphic effects for maximum visual effect. But now South Korea's film industry and the CG industry is a lack of capital, labor shortages, this aspect can not keep up with the flow of time in the absence of government policy worldwide. CG industry enabled in reality this is also a problem to be solved Korea film industry. In the latter process of the film and a high-performance computer is required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computer graphics, high-performance computer is difficult to arrange itself in the respective entity. CG industry to increase efficiency in the system, which can save time by having the desire to lower the latter cheaper jakeopbi has been increasingly growing. That is a need for a cloud computer service is introduced incrementally. In this paper, the Korea CG industry status in the state, despite the government's policies are lacking real interest and increase the need for the introduction of cloud systems overall review, and examine the status and domestic companies into foreign companies. It followed international practice of and Based on this and look at the necessity of introduction of the domestic cloud services and aiming to study in the future if the political challenges.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CG 산업 현황 및 전망
2. 국내 CG산업
3. 국내업체 현황
4. 해외업체 현황
5. CG 인프라 구축 모델 <픽사>
6. <웨타 디지털>
7.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 필요성
Ⅲ. 결 론
□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진해(Kim Jin-hae). (2015).CG 산업 활성화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18 (3), 253-272

MLA

김진해(Kim Jin-hae). "CG 산업 활성화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18.3(2015): 253-2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