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공미술 프로젝트에 대한 지역주민 인식이 지역사회 애착도 및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894
- 영문명
- The Effect of Local Resident's Perception of Public Art Projects on Community Attachment and Participatory Intention - Focusing on Ihwa-dong Mural Village in Jongno-gu, Seoul -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황동열(Hwang, Dong-ryul) 류희진(Ryu, Hee-jin)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조형디자인연구 제18집 3권, 109~12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2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공공미술 프로젝트에 대한 지역주민 인식이 지역사회 애착도 및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관련 변인간의 관계를 탐색적으로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과정에서 서울시 종로구 이화동의 거주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불성실하게 응답된 34부를 제외한 216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
는 SPSS 18.0과 AMOS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지역주민 인식 중 사회·문화적 인식, 환경적 인식, 경제적 인식 순으로 지역사회 애착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문화적 인식, 환경적 인식, 경제적 인식 순으로 참여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사회 애착도는 참여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공공미술 프로젝트에 대한 지역주민의 사회·문화적, 환경적, 경제적 인식이 지역사회 애착도와 참여의도를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으며, 지역사회 애착도가 참여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임을 의미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공공미술 프로젝트의 실효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차후 보다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근거자료
로써의 의미를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local resident's perception for the public art project on community attachment and participatory intention, and then look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of 250 residents in Ihwa-dong, Jongno-gu, Seoul was carried out, and 216 responses
were used in final analysis, except 34 insincere respons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18.0 and AMOS 18.0.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mong local resident's perceptions, sociocultural perception had biggest positive effect on community attachment and it was followed by environmental perception and
economical perception in order. Second, sociocultural perception had biggest positive effect on participatory intention and it was followed by environmental perception and economical perception in order. Third, community attachment had positive effect on participatory intention. These findings seem to imply the fact that local resident's
sociocultural perception, environmental perception and economical perception for the public art project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community attachment and participatory intention, and community attachment is an important variable having positive effect on participatory intention. Since above study findings verified the effectiveness and practical value of the public art project, the author hopes they will be used in the study of groping after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the public art project in the futur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공공미술의 개념
2. 공공미술 프로젝트의 이해
3. 서울시 종로구 이화동 벽화마을의
공공미술 프로젝트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및 가설
2. 조사대상 및 분석방법
3. 설문지 구성
Ⅳ. 분석결과
1.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2.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3. 가설 검증
Ⅴ. 결론
□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크리스토-쟌느 클로드의 포장기법을 이용한 장신구 표현 연구
- 금속의 탄성을 이용한 유기적 연결구조의 장신구 조형 연구
- 목차
- 고려·조선시대 원등(圓凳) 연구
- 디지털매체의 확장으로 본 편집디자인 패러다임 변화 연구
- 태극(太極)과 팔괘(八卦)문양을 활용한 우산디자인 연구
- 웰니스 투어리즘 개념을 도입한 테마형 농촌 공간 디자인 연구
- 점토의 물리적 특성에 의한 조형 표현 연구
- 데일 치훌리(Dale Chihuly)가 현대 유리예술 발전에 끼친 영향 분석
- 르 꼬르뷔제 타피스트리의 구축성 연구
- 매염제에 따른 염색성과 항균성 변화 연구
- 독일표현주의 목판화에서의 외상(Trauma)적 표현연구
- 반려견을 위한 유니트 가구 디자인 개발
- 공공미술 프로젝트에 대한 지역주민 인식이 지역사회 애착도 및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 CG 산업 활성화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