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지털매체의 확장으로 본 편집디자인 패러다임 변화 연구
이용수 484
- 영문명
- A Study on Paradigm Shift of Editorial Design about the Expansion of Digital Media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김효일(Kimm, Hyo-il)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조형디자인연구 제18집 3권, 205~21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2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인간에게 정보의 가공과 저장, 지식의 전달체계는 인류 역사와 궤를 같이하며 발전되어 왔다. 인간에게 정보를 전달하고 저장하는 지식의 체계는 종이의 발명과 인쇄술의 발전으로 급속도로 많은 변화를 이루게 되었으나 그 과정에서 편집디자인이 정보를 체계화하고, 보기 좋게 구성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변화되지 않고 계승되고 있으며, 이것은 기술의 발전으로 나타나게 된 디지털 매체의 전자책과 디지털북 등에서도 과거의 편집디자인에서 보여주는방식을 그대로 적용하는 iBook 등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아날로그 편집디자인에 적용된 레이아웃과 그리드 시스템 등 책의 가독성을 이루고자 노력한 자간, 행간의 구성은 현재의 디지털 책에서도 그대로 발견되며, 기술의 발전으로 디지털책의 구성에는 동영상, 사운드, 인터랙션 기법 등이 적용되어 보다 쉽게 정보를 이해할수 있다는 장점만 적용되었기 때문에 향후 기술의 발전으로 새로운 기법이 도입되어도 종이책
에서 이루어진 편집디자인은 유지될 것이라 판단된다.
영문 초록
Processing and storage of information in humans, the delivery system of knowledge has been developed into innovative technologies. Knowledge system to deliver and store information to a human has been led to many changes rapidl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vention the printing of the paper. Organize and edit design
information in this process, which is intended to convey objective view to improve the configuration has been inherited without change. It will be able to find e-books and digital books, etc. Digital media appear to advances in technology, etc. iBook easily applied as a way to show that in the past the edit design.
This study is tracking the readability of the book, such as efforts to achieve grid layout and editing system applied to the analog design, configuration, and the lines are found intact in today's digital books. Advances in technology have only advantages of a digital book that you can understand the information is more easily applied, such as video, sound, interactivity techniques were applied. Even developing new techniques to the development of future technologies, editing, book design made from paper are determined shall be maintain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2.1. 출판의 개념적 정의
2.2. 디지털매체의 발전과 영향
2.3. 디지털출판과 아날로그출판의 경계
Ⅲ. 편집디자인과 디지털매체의 변화
3.1. 출판매체의 변화와 매체 혼성
3.2. 편집디자인의 매체 변화
3.3. 디지털매체에서 편집디자인의 가치
Ⅳ. 디지털편집디자인의 미래가치
4.1.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디자인 환경
4.2. 디지털매체 편집디자인의 미래가치
Ⅴ. 결 론
□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크리스토-쟌느 클로드의 포장기법을 이용한 장신구 표현 연구
- 금속의 탄성을 이용한 유기적 연결구조의 장신구 조형 연구
- 목차
- 고려·조선시대 원등(圓凳) 연구
- 디지털매체의 확장으로 본 편집디자인 패러다임 변화 연구
- 태극(太極)과 팔괘(八卦)문양을 활용한 우산디자인 연구
- 웰니스 투어리즘 개념을 도입한 테마형 농촌 공간 디자인 연구
- 점토의 물리적 특성에 의한 조형 표현 연구
- 데일 치훌리(Dale Chihuly)가 현대 유리예술 발전에 끼친 영향 분석
- 르 꼬르뷔제 타피스트리의 구축성 연구
- 매염제에 따른 염색성과 항균성 변화 연구
- 독일표현주의 목판화에서의 외상(Trauma)적 표현연구
- 반려견을 위한 유니트 가구 디자인 개발
- 공공미술 프로젝트에 대한 지역주민 인식이 지역사회 애착도 및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 CG 산업 활성화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