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최경창 시에 나타난 시적 공간의 의미
이용수 565
- 영문명
- The Meaning of Poetic Space Shown in Poetry By Choi Gyong-Chang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정일권(Jeong, Il-Gwon)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95輯, 237~26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speculates on the poetic intent of Gojuk Choi Gyong-Chang centering on some of his poetry which has an open arrangement with regard to space but has psychologically closed arrangement, based on whether he
used the artistic effect positively and actively in writing his poetry, or whether he broke it negatively. This study identified openness and closure in space and its psychological representation and the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a few verses with an open arrangement in space and psychologically.
In revealing his wishes and desires, and his will with regard to responsibility and integrity as a public man in his poetry, Gojuk was open in space or psychologically, that is, he was positive and active.
‘When he was with those he loved’ or ‘when he dealt with the teachings of a wise and sublime nature’, he opened his psychology to unconsciously open space in order to actively show his enthusiasm.
Meanwhile, this study examined a few verses with closed arrangements of space psychologically.
Gojuk was psychologically closed in an open space when he was separated from the missing, when he encountered strange and anxious futures or when he was faced with a world filled with desires for the pursuit of fame and wealth.
He showed clear intent in writing poetry by setting arrangements in space while having the space closed psychologically. Just as a paradox becomes a stronger affirmation, so the poet's intent was highlighted through the use of open space while being closed psychologically.
Thus, the spatial arrangement, closure and openness psychologically were a clue to understand his mind and intent in writing poetry.
목차
1. 서론
2. 열린 공간을 통한 심리적 표출양상
1) 적극적인 심리 접속
2) 소극적인 심리 단절
3.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애국계몽기의 혈죽가사 연구
- 오장환의 사잇길
- 재생산의 관점에서 본 이용악의 『오랑캐꽃』 의 현재적 의미
- 이선희 소설에 나타난 동경과 가출의 젠더 지리
- ‘삭대엽’(『병가』), ‘율당대엽’(『악서』),‘각조음’(『흥비』) 등 유동적 악곡에 대한 소고
-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사용의 오류 분석
- 인문공학론 모방의 본질과 기억의 네트워크
- 풍문, 환상, 자기 의식성
- 정부초청 대학원 장학생(KGSP)의 어학연수에 대한 검토와 과제
- 윤리적 주체 형성과 글쓰기
- 『비극소설 압록강』 연구
- 최경창 시에 나타난 시적 공간의 의미
- 중등학교 문법 수업과 연계한 어문 규범 교육 방안
- ‘V-가다/오다’의 합성과 의미구조
- TV 광고언어 속 이데올로기의 변화 양상
- 종합문예지 『신문학(新文學)』연구
- 新羅鄕歌의 請願的性格에 대한 硏究
- ‘사람’ 관련 신어에 담긴 한국인의 정서와 문화
- 정양 시에 나타난 탈식민 양상과 그 의의
- 몸담론의 인식과 방법론
- ‘뿌리깊은나무 판소리 감상회’ 개최의 의미와 판소리 부흥에 끼친 영향
- 『여성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 에 관한 비판적 소고
- 16세기 사족녀의 한시에 나타난 사유와 표현양상
- 광복 70년, 국어학 외연의 확대와 발전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