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문공학론 모방의 본질과 기억의 네트워크
이용수 59
- 영문명
- The essence of mimesis and the memory's network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이용욱(Lee, Yong-wook)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95輯, 515~53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ntellectualization oriented society and Humanities Engineering" the essence of art as a follow-up study of how different oral medium that the with Characters media, depending on changes in the operating principle of imitation and creative media. A digital writing authoring tools and built-mediated mouse will explain how the networks and associated media and "Edit" remembered that appear to intervene in the mechanisms of imitation and creation.
Typewriters were to remove the visual effect from the act of writing, the computer and disconnect the accident was work. While adapting to a computer mouse and the Internet and new writing environment that provides human act of writing is separate from the grounds otherized. Digital was replaced by the exchange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between the memory and the DB instead of that way of thinking restore memory by connecting the human and machine to the network. Now the reason has been given a new interface on the boundary of the material and non-material away from the man's appropriation.
Starting from the technology from imitating our consciousness and body, it has evolved in a way that creates a new consciousness and body.
Information technology is transforming our consciousness in a manner that is optimized for the further interface up to mimic human. This technique does not nefarious (Do not to be evil) to the user (user) and is required when
the wisdom of the actor (player) you can make us a new question beyond the knowledge of the humanities.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모방의 삼각형 : 역사, 개인, 매체
3. 기억의 교환과 창조의 변증법
4. 맺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애국계몽기의 혈죽가사 연구
- 오장환의 사잇길
- 재생산의 관점에서 본 이용악의 『오랑캐꽃』 의 현재적 의미
- 이선희 소설에 나타난 동경과 가출의 젠더 지리
- ‘삭대엽’(『병가』), ‘율당대엽’(『악서』),‘각조음’(『흥비』) 등 유동적 악곡에 대한 소고
-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사용의 오류 분석
- 인문공학론 모방의 본질과 기억의 네트워크
- 풍문, 환상, 자기 의식성
- 정부초청 대학원 장학생(KGSP)의 어학연수에 대한 검토와 과제
- 윤리적 주체 형성과 글쓰기
- 『비극소설 압록강』 연구
- 최경창 시에 나타난 시적 공간의 의미
- 중등학교 문법 수업과 연계한 어문 규범 교육 방안
- ‘V-가다/오다’의 합성과 의미구조
- TV 광고언어 속 이데올로기의 변화 양상
- 종합문예지 『신문학(新文學)』연구
- 新羅鄕歌의 請願的性格에 대한 硏究
- ‘사람’ 관련 신어에 담긴 한국인의 정서와 문화
- 정양 시에 나타난 탈식민 양상과 그 의의
- 몸담론의 인식과 방법론
- ‘뿌리깊은나무 판소리 감상회’ 개최의 의미와 판소리 부흥에 끼친 영향
- 『여성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 에 관한 비판적 소고
- 16세기 사족녀의 한시에 나타난 사유와 표현양상
- 광복 70년, 국어학 외연의 확대와 발전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