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뿌리깊은나무 판소리 감상회’ 개최의 의미와 판소리 부흥에 끼친 영향
이용수 165
- 영문명
- The Significance of “The Deep-rooted tree Pansori Appreciation Society” held and the impact on the revival of pansori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이태화(Lee, Tae-hwa)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95輯, 207~23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January 1974 to September 1978 "The Deep-rooted tree Pansori Appreciation Society" was held by Pansori Society and the Britannica's sponsorship. The name "The Deep-rooted tree Pansori Appreciation Society", are those called by changing to suit the March 1976 of the magazine The Deep-rooted treelaunched, until 1975 was called "Britannica Pansori Appreciation Society".
This appreciation society, which was held up to 100 times, has the very important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pansori. Through the time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Korean War, pansori lost a viable and
competitive. And It was to wind up floating and lost popular appeal. Then, pansori is since the 1960s that are on the verge of death, is obtained the momentum of revival little by little, had some important opportunity there.
First,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was enacted in 1962, it is designated as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No. 5 from 1964, pansori became the object to be officially protected and saved. Then, Park Dong-jin
was steadily successful Wan-chang(完唱, full version singing of pansori) as a starting point the September 30, 1968. And other artists who want to validate their skills even while being joined in their ranks, and that was done
before the changed atmosphere.
Then during the pansori it is, academically and popularly, to meet the new instruments. It's the beginning of "Britannica pansori Appreciation Society", and it subsequently published the complete works pansori music. The
appreciation society, not only was a good example to allow other appreciation society similar results, had various effects on pansori system. When you organize its impact and significance, it is as follows.
First, lively atmosphere that was created to hold "pansori appreciation society" here and there.
Second, the bottom of the pansori is expanded around the young people.
Third, it was an opportunity to complete the process to record the traditional pansori that has been handed down to those days. In particular this is instead of finished appreciation society only, since led to the publication of pansori Complete Works album, it can be a to achieve the results.
Fourth, it was recognized the value of Jeonpan-pansori(singing pansori from the start to the end). So it gives should be treated carefully motivation authentic pansori than Tomak-sori(partial singing of pansori) and Chang-geuk(唱劇).
Fifth, it was a chance to be able to look back on the value of the drummer.
In particular, Kim Myeong-hwan, the success is continued until pansori Complete Works album announcement, came to be recognized ability to ensure its. And, he was designated as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erforming arts person for the first time February 2, 1978 as the drummer.
목차
1. 머리말
2. ‘브리태니커 판소리 감상회’를 시작한 계기
3. 연창자 선정 기준과 공연 기획
4. 감상회 100회의 출연자와 곡목
5. 대중의 반응과 장정의 끝
6. 판소리계에 끼친 영향과 의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애국계몽기의 혈죽가사 연구
- 오장환의 사잇길
- 재생산의 관점에서 본 이용악의 『오랑캐꽃』 의 현재적 의미
- 이선희 소설에 나타난 동경과 가출의 젠더 지리
- ‘삭대엽’(『병가』), ‘율당대엽’(『악서』),‘각조음’(『흥비』) 등 유동적 악곡에 대한 소고
-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사용의 오류 분석
- 인문공학론 모방의 본질과 기억의 네트워크
- 풍문, 환상, 자기 의식성
- 정부초청 대학원 장학생(KGSP)의 어학연수에 대한 검토와 과제
- 윤리적 주체 형성과 글쓰기
- 『비극소설 압록강』 연구
- 최경창 시에 나타난 시적 공간의 의미
- 중등학교 문법 수업과 연계한 어문 규범 교육 방안
- ‘V-가다/오다’의 합성과 의미구조
- TV 광고언어 속 이데올로기의 변화 양상
- 종합문예지 『신문학(新文學)』연구
- 新羅鄕歌의 請願的性格에 대한 硏究
- ‘사람’ 관련 신어에 담긴 한국인의 정서와 문화
- 정양 시에 나타난 탈식민 양상과 그 의의
- 몸담론의 인식과 방법론
- ‘뿌리깊은나무 판소리 감상회’ 개최의 의미와 판소리 부흥에 끼친 영향
- 『여성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 에 관한 비판적 소고
- 16세기 사족녀의 한시에 나타난 사유와 표현양상
- 광복 70년, 국어학 외연의 확대와 발전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