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반인의 내면화를 위한 대화 중심 미술 감상방법에 관한 연구
이용수 575
- 영문명
- A Study on the Conversation-Based Art Appreciation Method for the Internalization of the Ordinary People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정연은(Jung, Yun Eun) 이형구(Rhee, Hyoung Koo)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29券 4號, 67~9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미술교육자의 이론에 의한 미술 감상방법을 적용한 학위 논문과 연구물은 학교 교육에서 초, 중등 학생을 대상으로 유용한 결과를 보여 주고 있으나 일반 사회에 있는 일반인에 대한 미술 감상방법에 대한 결과물은 상당히 부족하다. 전문적인 지식이 부
족하고 미술 작품을 이해하는 방법을 모르는 일반인들에게 미술 작품의 미적 가치에대한 내면화가 이루어지는 미술 감상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이 연구의 필요성이다. 대화 중심 미술 감상방법으로 전문 지식이 없는 일반인들에게 적용하여 주관적인 경험과 정신적 깊이의 한계만큼 심미적 감성을 발휘하는 내면화를 이루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단계별 질문, 문항, 수업 모형, 수업 지도안을 개발하여 내면화를 위한 대화 중심미술 감상방법을 적용하여 내면화 변화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설문지를 사전, 사후로통계 처리하였다. 단계별 내면화 변화를 SPSS통계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Paired t-test로 분석한 결과는 대화 중심 미술 감상방법이 일반인들의 내면화에 효과적으로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conversation-based art appreciation method targeting ordinary people to help them internalize. The results of internalization found in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 First, learners tend to show activeness in art work appreciation activity visiting art museums and galleries and taking art appreciation lectures
and they feel no refusal or difficulty in dealing with art works. Second, their visual literacy to observe art works has been enhanced. They described and discussed the texts of art work what they observed and discovered. Third, their critical visual thinking has been improved.
Fourth, their self values and attitudes to life were influenced positively and they had higher self-esteem by recognizing the new meaning of life.
Fifth, with the process of appreciating art works, they could have better interpersonal relationship based on understanding and respecting others.
Taking conversation-based art appreciation lectures,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their lives has been elevated and the internal growth gaining self-confidence was grown. Above of all results, the conversation- based
art appreciation method which make learner internalized can be effectively accepted by ordinary peopl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대화 중심 미술 감상방법
Ⅳ. 수업 적용 및 분석 결과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