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상장을 활용한 서예 수업 사례 연구

이용수  72

영문명
A Case Study of Calligraphy Instruction Using Certificates
발행기관
한국미술교육학회
저자명
박영대(Park Young Dae)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29券 4號, 1~2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09 개정 초등학교 미술교과서 서예 영역을 살펴보면 기존의 임서 활동과 함께 창작 서예인 ‘자기 글씨체 쓰기’가 상당 부분 도입되었다. 하지만 자신의 품성이 드러나는 글씨라기보다 특이한 글씨 만들기에 치우치는 경향이 있다. 임서와 창작을 자연스럽게 연계하면서, 자기의 이야기를 글씨에 담는 활동은 아직 부족하다. 이 글은 상장을 활용한 서예 수업 사례로, 수상 대상 선정하기, 상 이름 정하고 내용 쓰기, 상장 디자인하기, 상장 쓰기, 상장 전달하고 보고서 작성하기 등 다섯 단계의 과정과 함께 수업 결과물을 분류하고 정리하였다. 이 활동의 교육적 의의는, 첫째, 상장 쓰기를 통해 자신이 평소에 쓰는 글씨체에 자부심을 가질 수 있었다. 둘째, 상장에 자기의 일상과 이야기를 담게 되면서 과정에 몰입하고 즐길 수 있었다. 셋째, 상장을 정성스럽게 디자인하고 액자에 넣어 전달하면서 글씨가 교감하고 소통하는 매개체임을 알 수 있었다. 이 수업은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만큼 초등학교 미술교과서에 근거하고 그 개선안으로써 마련한 것이며, 이를 통해 초등학교 서예수업의 변화를 모색하고 나아가 서예 교육의 목표와 방향을 재고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e revised art textbook for elementary school(2009) has introduced a creative method for learning calligraphy, “writing in one’s own style,” to complement the preexisting copy-training methods. The new method, however, is identical in format to copy-training, and students tend to focus on inventing unconventional fonts rather than on expressing their personalities in calligraphy. Therefore, there is still a lack of classroom activity that provides a smooth transition from copy-training to creative writing and helps student learn to personalize calligraphy. This report describes a calligraphy instruction based on certificate writing. It documents the instruction program in detail, which consists of choosing an awardee, determining the title and content of the award, designing and producing the certificate, and delivering the certificate. It also classifies and presents the resulting certificates. According to students’ responses, this instruction had the following educational significance: first, students came to value their calligraphic styles; second, drawing upon their own experiences, students were able to focus on and enjoy the instruction; third, through earnest making and delivery of a certificate, students realized the communicative value of calligraphy. Given to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s instruction aimed to improve the current methods of calligraphy instruction as well as to reconsider the aims of elementary school calligraphy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창작 서예와 일상적 글쓰기
Ⅲ. 상장을 활용한 서예 수업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영대(Park Young Dae). (2015).상장을 활용한 서예 수업 사례 연구. 미술교육논총, 29 (4), 1-22

MLA

박영대(Park Young Dae). "상장을 활용한 서예 수업 사례 연구." 미술교육논총, 29.4(2015): 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