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뉴실버세대 사회활동 참여가 자아존중감과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983
- 영문명
- The Effects of New Silver Generation Social Participation on Self 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 발행기관
- 한국복지실천학회
- 저자명
- 김진환(Kim Jin Hwan)
- 간행물 정보
- 『한국복지실천학회지』제7권 제1호, 108~135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뉴실버세대의 급격한 증가는 사회적보호 서비스 욕구와 수요증가 유발을 의미하게 되며, 기존 실버세대와 다른 라이프스타일 성향을 갖고 있는 뉴실버세대의 자아존중감 및 심리적 안녕감 제고를 고려하는 사회활동 참여특성에 따른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정책적 방향이 제시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와 같은 필요성을 바탕으로 서울시에 거주하고 노인정 등을 이용하며 사회활동 참여를 하고 있는 55〜65세미만의 뉴실버세대 및 65세 이상의 실버세대 대상으로 조사하여 310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사회활동에 참여하는 뉴실버세대 및 실버세대들이 인지하는 자아존중감 및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를 조사·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뉴실버세대와 실버세대가 인지하는 사회활동 참여특성은 전체 사회활동 및 하위요인인 종교문화활동, 교육경제활동의 경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아존중감은 전체 자아존중감 및 하위요인인 긍정인지 및 타인비교 자기인지의 인식 차이에 영향을 미치며, 심리적 안녕감의 경우에는 하위요인인 삶의 목적 인식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영문 초록
Korea entered the aging society and changes began to occur in silver industry. These changes gave birth to a new term ‘new silver generation’on which developed countries have already begun to study. Researches on new silver generation have also been made in various fields in South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new silver generation social participation on self 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 industrial policy aim at new silver generation needs to be made.
310 questionnaires for new silver generation and silver generation living in Seoul from 55 years of age to less than 65 have been distribu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religion & culture activities and educational & economic activities which are whole social activities and sub-factors at the same time,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participation recognized by new silver generat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perceptive difference not only in self esteem but also in positive perception and self-perception compared with others which are sub-factors. The purpose of life, the sub-factor of psychological well-being was also effects by social participation. The perceptive difference in the purpose of life which is the sub-factor was effects by psychological well-being.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조사 설계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사회복지상담과 불교철학의 융합 가능성 :이론·실천의 통합을 위한 개입 모형 제안
- 사회복지사의 소명의식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
- 정신장애인을 위한 정신건강 증진접근의 개념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