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 배경 학생 대상 KSL 한국어 교육과정 운영 사례 분석과 향후 과제
이용수 2,158
- 영문명
- A Case Study on KSL Education Programs for Students Having Multicultural Backgrounds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김윤주(Kim Yoon joo)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93輯, 359~38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his study, KSL education programs for students having multi-cultural backgrounds have been analyzed after conducting school visits, interviews with teachers, observations, and documents reviews. Recommendations are provided focusing on crucial componen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do this, academic and theoretical discussions for educating students of multi-cultural backgrounds were conducted while focusing on several American ESL teaching methods Operations of American ESL categorized after reviewing previous researches. Reflecting the discussions of American ESL, observations of Korean KSL operations were provided. By focusing on status of students and teachers, structures of class and class operations, textbooks and teaching materials, the author categorized KSL operations into four types.
After the analysis, the author suggested six recommendations for desirable operations of KSL education for students who have multi-cultural backgrounds; those are selection criteria and ranges for the objects of education, competence and shared value of teachers, developments and spread of content-based teaching methods, parents education and connection to communities, leadership of managers and their commitment, and supporting alternatives for remote schools.
목차
1. 서론
2. 제2언어 교육을 위한 ESL 프로그램 유형
3. 한국어(KSL) 교육과정 운영 현황 및 사례 분석
4. 한국어(KSL)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향후 과제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인승의 문법 연구
- '착하다'의 어휘사
- 구비신화의 상황중심적 커뮤니케이션 특성과 교감적 메시지로서의 기능
- 「장복선전」 연구
- 소설의 영화화에 따른 서사성 변환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중간언어 '가다/오다'의 인식 양상 연구
- 다문화 배경 학생 대상 KSL 한국어 교육과정 운영 사례 분석과 향후 과제
- 'NP에게'와 'NP을' 논항을 갖는 동사의 피동
- 코퍼스를 활용한 신소설 문체 분석 시론
- 서파 오도일 「丙寅燕行日乘」의 내용상의 특징
- 시 전문지 『시정신』 연구
- 역사적 죽음을 현재화하는 글쓰기
- 광주목 희경루와 그 제영
- 『동인시화』에 나타난 시론의 특징과 비평사적 의미
- 개인기록을 통한 국어생활사 연구
- 우즈벡 고려인 영웅, 김병화 서사담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