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서파 오도일 「丙寅燕行日乘」의 내용상의 특징
이용수 79
- 영문명
- Oh Doil and his ByeongInYeonHaengIISung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김설매(JIN XUE MEI)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93輯, 135~15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h Doil(1645-1703)was a scholar and politician of the Joseon dynasty in 17th century. In June 1868, he started off to Peking as Seojanggwan(an official in charge of keeping records) and returned in November the same year. He wrote the ByeongInYeonHaengIISung during the journey.
The main content of the ByeongInYeonHaengIISung focused on the journey from ApRokGang to Peking and the days he stayed in Peking. The returning course only took a small part in the book. Entries in ByeongInYeonHaengIISung were mostly written in essay which is more flexible and detailed compared to the poetries in early Yeonhaengroks.
In ByeongInYeonHaengIISung, Oh Doil recorded information about the politics, economy, culture and many other aspects of Qing dynasty at the time which is very valuable for the study of the period in China.
At the beginning of the Qing dynasty, most scholars in Joseon dynasty considered Qing as barbarian, and don't think it'll stay for long. In ByeongInYeonHaengIISung, although Oh Doil still predicted the Qing dynasty's destiny the same way, but with a little reluctant he started to recognized the economy development and civilization in Qing which is an example that the attitudes of Joseon scholars towards Qing gradually changed through time.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연행의 경위와 병인연행
3. 「병인연행일승」의 내용상의 특징
4.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인승의 문법 연구
- '착하다'의 어휘사
- 구비신화의 상황중심적 커뮤니케이션 특성과 교감적 메시지로서의 기능
- 「장복선전」 연구
- 소설의 영화화에 따른 서사성 변환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중간언어 '가다/오다'의 인식 양상 연구
- 다문화 배경 학생 대상 KSL 한국어 교육과정 운영 사례 분석과 향후 과제
- 'NP에게'와 'NP을' 논항을 갖는 동사의 피동
- 코퍼스를 활용한 신소설 문체 분석 시론
- 서파 오도일 「丙寅燕行日乘」의 내용상의 특징
- 시 전문지 『시정신』 연구
- 역사적 죽음을 현재화하는 글쓰기
- 광주목 희경루와 그 제영
- 『동인시화』에 나타난 시론의 특징과 비평사적 의미
- 개인기록을 통한 국어생활사 연구
- 우즈벡 고려인 영웅, 김병화 서사담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학습자 개인차 변인이 문어 숙달도에 미치는 영향 - L2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예
- 한국어교육 36권 2호 목차
- 학습자군의 다양화와 한국어교육의 대응 - 다원적인, 다채로운, 학습자 중심의 한국어교육 다양성을 위하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