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학습자의 중간언어 '가다/오다'의 인식 양상 연구
이용수 762
- 영문명
- A study aspect of cognition on '가다/오다' of Korean learners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박은정(Park Eun J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93輯, 387~40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study an aspect of cognition about motion verbs '가다/오다' of Korean learners. It shows an aspect of '가다/오다' choice of intermediate learners and advanced learners. '가다/오다' choice of learners is not influenced by learners' mother tongues.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classify into language patterns. Both learning groups feel more constraint subjective motion expressions than objective motion. '가다/오다' choice of advanced learners are similar to the aspect of usage for Korean speakers. However, advanced learners feel constraint mental motion in usage of '가다/오다'. In this paper, I will point out that it is considered as the main person who has cognizance of motion, destination, and main person in motion.
목차
1. 들어가기
2. '가다'와 '오다'의 특성
3. '가다/오다'의 인식 양상
4. 분석 결과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인승의 문법 연구
- '착하다'의 어휘사
- 구비신화의 상황중심적 커뮤니케이션 특성과 교감적 메시지로서의 기능
- 「장복선전」 연구
- 소설의 영화화에 따른 서사성 변환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중간언어 '가다/오다'의 인식 양상 연구
- 다문화 배경 학생 대상 KSL 한국어 교육과정 운영 사례 분석과 향후 과제
- 'NP에게'와 'NP을' 논항을 갖는 동사의 피동
- 코퍼스를 활용한 신소설 문체 분석 시론
- 서파 오도일 「丙寅燕行日乘」의 내용상의 특징
- 시 전문지 『시정신』 연구
- 역사적 죽음을 현재화하는 글쓰기
- 광주목 희경루와 그 제영
- 『동인시화』에 나타난 시론의 특징과 비평사적 의미
- 개인기록을 통한 국어생활사 연구
- 우즈벡 고려인 영웅, 김병화 서사담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학습자 개인차 변인이 문어 숙달도에 미치는 영향 - L2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예
- 한국어교육 36권 2호 목차
- 학습자군의 다양화와 한국어교육의 대응 - 다원적인, 다채로운, 학습자 중심의 한국어교육 다양성을 위하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