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etravalent Bispecific 항체 분자인 Di-diabody의 제조 및 표적 단백질에 대한 항염증 영향
이용수 5
- 영문명
- Production of Di-diabody, a Tetravalent Bispecific Antibody Molecule and its Anti-inflammatory Effects on the Target Proteins
- 발행기관
- 대한약학회
- 저자명
- 정선기(Sun Ki Jung) 류창선(Chang Seon Ryu) 김선규(Sun Kyu Kim) 마진열(Jin Yeol Ma) 김상겸(Sang Kyum Kim)
- 간행물 정보
- 『약학회지』제54권 제6호 (2010년), 500~506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NF-α and VCAM-1 play a pivotal role in the pathogenesis of rheumatoid arthritis, and the development of drugs targeting these molecules has extended the therapeutical approaches to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Bispecific antibodies combine the antigen-binding sites of two antibodies within a single molecule and thus they are able to bind to two different epitopes simultaneously. A specific bispecific antibody format termed “Di-diabody” was made for the efficient approach to anti-inflammation. In this study, the DNA vector construct of Di-diabody was built up against two antigens, VCAM-1 and TNF-α. For evaluating this Di-diabody as a bispecific antibody on the efficacy of anti-inflammation, the proteins were analyzed according to each antigen binding affinity and cell based assay related separate molecules. The 7H/Humira Di-diabody produced in this study interacted with its ligands, VCAM-1 and TNF-α, respectively. Also, this antibody exhibited the similar functional activities as compared to 7H-IgG in respect to inhibition of hVCAM-1-induced cell adhesion and Humira-IgG in respect to inhibition of TNF-α induced cytotoxicity. Further study to elucidate the pharmacological significance of the Di-diabody is warranted using experimental animal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천식환자에 대한 표준화된 병원약사대상 교육과 반복적인 환자대상 복약지도를 통한 성과 분석
- 3β-치환 5-Androstene-17-Carboxamides 합성과 5α-Reductase 저해 활성
- HS-SPME-GC/MS에 의한 혈액중 17종 유기인계 농약의 동시분석법
- Hop 유래 Xanthohumol 화합물에 의한 Proteasome계의 유도발현
- 당뇨병환자에게 부적절하게 사용된 Metformin의 처방빈도 분석
- 식물 유래 당단백질의 당질 구조 분석
- Chlorogenic Acid의 면역보조제 효과
- 형태학적으로 고정된 뉴클레오사이드 주요중간체의 Enantioselective 합성법 탐색
- Steroidal Saponin을 이용한 위유, 황정의 분류 및 함량 분석법 개발
- 3-페닐-1-이소퀴놀린아민이 신경세포에서 베타 아밀로이드 전구단백질의 대사에 미치는 영향
-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s-2와 Endostatin의 혈관신생 제어 효능 평가
- 난소절제 랫트에서 에스트로겐 저하가 알코올 대사에 미치는 영향
- Galangin 및 양강추출물의 KBrO3 유도 DNA 및 염색체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
- L-형 칼슘 이온통로에 의한 파골세포 분화의 조절
- Tetravalent Bispecific 항체 분자인 Di-diabody의 제조 및 표적 단백질에 대한 항염증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약학회지 제69권 제3호(2025년) 목차
- 국내외 폐의약품의 수거 현황 비교 및 정책적 시사점 도출
- 성인 과체중 또는 비만 환자에서 GLP-1 수용체 작용제의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 체계적 문헌고찰 및 베이지안 네트워크 메타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