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hlorogenic Acid의 면역보조제 효과
이용수 19
- 영문명
- Immunoadjuvant Activity of Chlorogenic Acid
- 발행기관
- 대한약학회
- 저자명
- 한용문(Yongmoon Han)
- 간행물 정보
- 『약학회지』제54권 제6호 (2010년), 494~499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We have been focussing on discovery of natural compounds that have immunoregulatory activities for many year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if chlorogenic acid (CRA), a polyphenolic compound, has an immunoadjuvant activity. Prior to examining the immunoadjuvant activity, effect of CRA on proliferation of T- or B-lymphocyte was determined. Results showed that CRA enhanced the proliferation of those lymphocytes in dose-dependant manner (P<0.05), and the proliferation enhancement by CRA was appeared to be more effective to B-cells than to T-cells. Based on these observations, it was tested with bovine serum albumin (BSA) and Candida albicans cell wall (CACW) as antigenic sources if CRA has an immunoadjuvant activity. In experiments, BSA alone or a mixture of BSA plus CRA was injected intraperitoneally to mice (BALB/c strain). For a negative control, mice were given only diluent (DPBS) by the same route. In other experiment, CACW was tested by the same way as did with BSA. Three weeks after the first immunization these animals were boosted. Antisera collected from the mice one week after the booster were analyzed by ELISA. Results displayed that the induction of anti-BSA antibody was increased in mice that received the mixture of BSA and CRA as compared to anti-BSA induction in BSA only-given mice groups (P<0.05). In case of CACW, a similar observation as did with BSA was made, resulting in that there was app. 40% increased production of the anti-CACW antiserum from the combination (CACW plus CRA)-received mice as compared to antiserum induction from CACW alone-given animals. Taken all together, these data indicate that CRA has an ability of enhancing antibody production regardless of nature of antigenic sources. Presumably, activation of B-cell proliferation by CRA may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immunoadjuvant activity of the polyphenolic compound.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천식환자에 대한 표준화된 병원약사대상 교육과 반복적인 환자대상 복약지도를 통한 성과 분석
- 3β-치환 5-Androstene-17-Carboxamides 합성과 5α-Reductase 저해 활성
- HS-SPME-GC/MS에 의한 혈액중 17종 유기인계 농약의 동시분석법
- Hop 유래 Xanthohumol 화합물에 의한 Proteasome계의 유도발현
- 당뇨병환자에게 부적절하게 사용된 Metformin의 처방빈도 분석
- 식물 유래 당단백질의 당질 구조 분석
- Chlorogenic Acid의 면역보조제 효과
- 형태학적으로 고정된 뉴클레오사이드 주요중간체의 Enantioselective 합성법 탐색
- Steroidal Saponin을 이용한 위유, 황정의 분류 및 함량 분석법 개발
- 3-페닐-1-이소퀴놀린아민이 신경세포에서 베타 아밀로이드 전구단백질의 대사에 미치는 영향
-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s-2와 Endostatin의 혈관신생 제어 효능 평가
- 난소절제 랫트에서 에스트로겐 저하가 알코올 대사에 미치는 영향
- Galangin 및 양강추출물의 KBrO3 유도 DNA 및 염색체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
- L-형 칼슘 이온통로에 의한 파골세포 분화의 조절
- Tetravalent Bispecific 항체 분자인 Di-diabody의 제조 및 표적 단백질에 대한 항염증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약학회지 제69권 제3호(2025년) 목차
- 국내외 폐의약품의 수거 현황 비교 및 정책적 시사점 도출
- 성인 과체중 또는 비만 환자에서 GLP-1 수용체 작용제의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 체계적 문헌고찰 및 베이지안 네트워크 메타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