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구미지역 미용업 종사자들의 눈, 피부, 호흡기 증상 경험률
이용수 120
- 영문명
- Prevalence of Ocular, Dermatologic, and Respiratory Symptoms in Hairdressers of Gumi City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사공준(Joon Sakong) 김만복(Man-Bok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14권 제3호, 147~16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2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prevalence of ocular, dermatologic, and respiratory symptoms caused by hairdressers' exposure to harmful chemical substance. It compared the degree of risk of experiencing symptoms between the hairdressers'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evalu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hairdressers' types of work and work characteristics and the symptoms.
Fifty-three beauty parlors located in Gyeongbuk Gumi city were extra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The subjects were then divided into the exposure group composed of 103 hairdressers, and the control group composed of 98 ordinary persons.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ocular, dermatological, and respiratory system symptoms in the hairdressers'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Moreover, the degree of risk in experiencing symptoms in the hairdressers' group was 2∼3 times higher in eye-related symptoms, 3 times higher in red spots in the skin-related symptoms, and 2∼3 times higher in respiratory system-related symptoms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To prevent occupational dyscrasia among hairdressers, it is necessary for them to wear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s, wash hands after work, improve working environment, and develop mild beauty treatment products. Symptoms among workers should be early detected and management, such as task switching, should be taken.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대상 및 방법
Ⅳ. 결과 및 고찰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크리에이티브 헤어의 메쉬에 따른 연대별 드라이웨이브 변화 연구
- 뷰티 디자인에 표현된 선(line)에 관한 연구
- 온열 발반사 요법이 비만여성의 우울지수 및 혈청 성분에 미치는 영향
- 민감성 두피에서 아스테라세아가 함유된 제품의 효과
- 현대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가면(Mask)의 이미지 특성 연구
- 아트메이크업에 나타난 일러스트레이션 특성 분석
- 2000년대 여성지 표지모델의 의상ㆍ메이크업ㆍ헤어스타일 이미지 변화에 관한 연구
- 백량금 열매 추출물이 항산화 및 항염작용에 미치는 영향
-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피부관리행동 조절 요인 연구
- 네일 관리방법에 따른 네일의 손상도 비교
- 연령대별 남성헤어스타일 선호도에 관한 연구
- 구미지역 미용업 종사자들의 눈, 피부, 호흡기 증상 경험률
- 남녀 청소년의 신체관리태도에 미치는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영향
- 자기이미지가 헤어스타일 모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 서울ㆍ경기지역 성인여성의 메이크업 서비스 이용실태
- EPL(Extension Program Learning)을 적용한 컨버전스 수업 설계
- 여성의 직업에 따른 헤어 및 메이크업 선호도 연구
- 여대생의 기초화장품과 기능성화장품의 구매행동과 사용실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