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대생의 기초화장품과 기능성화장품의 구매행동과 사용실태
이용수 1,428
- 영문명
- The status of use and purchase behavior of basic cosmetics and cosmeceuticals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오은정(Eun-Jung Oh) 김미영(Mi-young Kim) 문덕환(Deog-Hwan Moon)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14권 제3호, 79~10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2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pare fundamental data and support for the establishment of a marketing strategy, and to assess the status of use and purchase behavior of basic cosmetics and cosmeceuticals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560 female university students using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rom Nov. 15th to 30th,2010.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s were organized into 5 items for general characteristics, 9 items for usage status of basic cosmetics, 4 items for purchase behavior of basic cosmetics, 9 items for usage status of cosmeceuticals, and 7 items for purchase behavior of cosmeceutical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the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PSS program (ver. 18.0).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use rate of basic cosmetics by place of purchase was the highest for roadside shops because of convenience, and the cost of purchase of basic cosmetics was 30 - 50 thousand won. 2. The rate of combination skin type by skin type was the highest, the use rate of basic cosmetics by major was higher in the beauty major group than other groups. 3. The use rate of cosmeceuticals by place of production was higher for domestic brand than others. The use rate of cosmeceuticals by place of purchase was the highest in cosmetic specialty shops because of convenience and needs, and the cost of purchase of cosmeceuticals was 30 - 50 thousand won. 4. The use rate of cosmeceuticals by purchase cost was higher at low prices than high prices, and the use rate of cosmeceuticals by kind of cosmeceutical was higher for multi-functional cosmeceuticals than other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크리에이티브 헤어의 메쉬에 따른 연대별 드라이웨이브 변화 연구
- 뷰티 디자인에 표현된 선(line)에 관한 연구
- 온열 발반사 요법이 비만여성의 우울지수 및 혈청 성분에 미치는 영향
- 민감성 두피에서 아스테라세아가 함유된 제품의 효과
- 현대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가면(Mask)의 이미지 특성 연구
- 아트메이크업에 나타난 일러스트레이션 특성 분석
- 2000년대 여성지 표지모델의 의상ㆍ메이크업ㆍ헤어스타일 이미지 변화에 관한 연구
- 백량금 열매 추출물이 항산화 및 항염작용에 미치는 영향
-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피부관리행동 조절 요인 연구
- 네일 관리방법에 따른 네일의 손상도 비교
- 연령대별 남성헤어스타일 선호도에 관한 연구
- 구미지역 미용업 종사자들의 눈, 피부, 호흡기 증상 경험률
- 남녀 청소년의 신체관리태도에 미치는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영향
- 자기이미지가 헤어스타일 모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 서울ㆍ경기지역 성인여성의 메이크업 서비스 이용실태
- EPL(Extension Program Learning)을 적용한 컨버전스 수업 설계
- 여성의 직업에 따른 헤어 및 메이크업 선호도 연구
- 여대생의 기초화장품과 기능성화장품의 구매행동과 사용실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