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the Effects of Self-Image on Hairstyle Imitation Behavior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손지연(Son-Ji Yeon)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14권 제3호, 17~3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2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has investigated: i) types of self-images, ii) differences in type of self-image and hairstyle imitation behavior by general characteristics, and iii) differences in hairstyle imitation behavior by type of self-image against women in their 20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according to an analysis of self-image factors, strong, womanly, young, comfortable, and intelligent images were observed. Second, according to an analysis of hairstyle imitation behavior, it consists of the following four factors: personality, conformity, aesthetics, and convenience. According to a cluster analysis of self-image with the goal of finding out the differences in types of self-image by general characteristics, young image was the highest, followed by intelligent/womanly image, no image, strong image, and comfortable image.
Third, according to an analysis of differences in hairstyle imitation behavior by general characteristic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educational background, occupation, and income. As education was higher, individual behavior was higher as well. Compared to students, office workers considered 'convenience' as a top priority. Among those with a high income, 'aesthetics' was considered in imitating hairstyle. Fourth, according to an analysis of differences in hairstyle imitation behavior by type of self-image,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conformity, aesthetics, and personality. In conclusion, as self-image was strong, hairstyle imitation behavior was high. Under no image, on the contrary, hairstyle imitation behavior was low.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절차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민감성 두피에서 아스테라세아가 함유된 제품의 효과
- 여대생의 기초화장품과 기능성화장품의 구매행동과 사용실태
- 연령대별 남성헤어스타일 선호도에 관한 연구
-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피부관리행동 조절 요인 연구
- 현대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가면(Mask)의 이미지 특성 연구
- 남녀 청소년의 신체관리태도에 미치는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영향
- 여성의 직업에 따른 헤어 및 메이크업 선호도 연구
- 자기이미지가 헤어스타일 모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 크리에이티브 헤어의 메쉬에 따른 연대별 드라이웨이브 변화 연구
- 뷰티 디자인에 표현된 선(line)에 관한 연구
- 온열 발반사 요법이 비만여성의 우울지수 및 혈청 성분에 미치는 영향
- 2000년대 여성지 표지모델의 의상ㆍ메이크업ㆍ헤어스타일 이미지 변화에 관한 연구
- 백량금 열매 추출물이 항산화 및 항염작용에 미치는 영향
- 구미지역 미용업 종사자들의 눈, 피부, 호흡기 증상 경험률
- 네일 관리방법에 따른 네일의 손상도 비교
- 서울ㆍ경기지역 성인여성의 메이크업 서비스 이용실태
- EPL(Extension Program Learning)을 적용한 컨버전스 수업 설계
- 아트메이크업에 나타난 일러스트레이션 특성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TV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의 성공 요인 분석-대본과 그 장르를 중심으로 -
- 소통을 위한 영화의 형식적 표현 연구-영화 <증인>을 중심으로 -
- 영화 <서치>의 연출 분석-파운드 푸티지와 전통적인 장르의 융합을 중심으로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