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Lines Created in Beauty Design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정연자(Yeon-Ja J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14권 제3호, 45~6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2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aimed to identify the infinite formative potentials of lines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expression features of lines in beauty design as the analysis on the expression approaches and understanding of meaning symbolized by lines and so to present the basis for a variety of creative works in beauty design using lines. The analysis results are described below.
The first potential is the limitless change. Beauty design expresses diverse kinds of lines by thickness, length, direction or angle. Lines demonstrate infinite potentials through the change in a form without being just contour line.
Lines play the visual and perceptual roles. Beauty design expresses objects by lines and at the same time, presents the function of lines as the independent visual object. Lines containing the various kinds of expression and behavioral features propose the possibility of creative beauty design.
Next, lines illustrate the creative movement. The straight line in beauty design is created by formatively reasonable and visual simplicity and the curve is expressed as the factor arousing diverse kinds of imagination. Emotional lines or vital lines in hair, makeup or nail design express the creative movements for voluntary motion or emotion of lines themselves or aesthetic pleasure in liberal expression.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뷰티디자인에 표현된 선의 표현특성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민감성 두피에서 아스테라세아가 함유된 제품의 효과
- 여대생의 기초화장품과 기능성화장품의 구매행동과 사용실태
- 연령대별 남성헤어스타일 선호도에 관한 연구
-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피부관리행동 조절 요인 연구
- 현대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가면(Mask)의 이미지 특성 연구
- 남녀 청소년의 신체관리태도에 미치는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영향
- 여성의 직업에 따른 헤어 및 메이크업 선호도 연구
- 자기이미지가 헤어스타일 모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 크리에이티브 헤어의 메쉬에 따른 연대별 드라이웨이브 변화 연구
- 뷰티 디자인에 표현된 선(line)에 관한 연구
- 온열 발반사 요법이 비만여성의 우울지수 및 혈청 성분에 미치는 영향
- 2000년대 여성지 표지모델의 의상ㆍ메이크업ㆍ헤어스타일 이미지 변화에 관한 연구
- 백량금 열매 추출물이 항산화 및 항염작용에 미치는 영향
- 구미지역 미용업 종사자들의 눈, 피부, 호흡기 증상 경험률
- 네일 관리방법에 따른 네일의 손상도 비교
- 서울ㆍ경기지역 성인여성의 메이크업 서비스 이용실태
- EPL(Extension Program Learning)을 적용한 컨버전스 수업 설계
- 아트메이크업에 나타난 일러스트레이션 특성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커피 프랜차이즈 기업의 캐릭터 콜라보레이션 전략 연구 - 큐렌들리 마케팅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