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ie Betrachtung über das “Ereignis” im § 719 des koreanischen Handelsgesetzes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 저자명
- 김은경(Kim, Eun-Kyung)
- 간행물 정보
- 『원광법학』제24권 제1호, 375~394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3.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Nach §719 des koreanischen Handelsgesetzes(KHG) ist die Haftung des Versicherers geregelt. Es inhaltet den Begriff über die Haftpflichtversicherung. Gemäß §719 ist der Versicherer bei der Haftpflichtversicherug verpflichtet, dem Versicherte zu leisten, die dieser auf Grund seiner Verantwortlichkeit für eine während der Versicherungszeit eintretende Tatsache an einen Dritten zu ersetzen hat. Was der die während der Versicherungszeit eintretende Tatsache ist bzw. was der Versicherungsfall in der Haftpflichtversicherung konkret bedeutet, ist unklar. D.h legt das KHG nicht fest, welcher Vorgang in der Haftpflichtversicherung den Versicherungsfall darstellt. Es überläßt das der Klärung durch das Vertagsrecht. Nach einiger Meinung wird der Versicherungsfall als das Schadensereigniss oder das Kausalereignis beschrieben, das Haftpflichtansprüche gegen den Versicherungsnehmer zur Folge haben könnte. Nach meiner Ansicht wäre jedoch das Schadensereignis nicht der Versicherungsfall. Das Schadensereignis ist ein Kausalereignis als ein Haftungsgrund, nach dem der Geschädigte gegen den Schädiger Schadensersatzanspruch nach dem Haftungsverhältnis erheben konnte. Aber der Versicherungsfall knüpft an ein Versicherungsverhältnis an. Das Entsthen eines Vermögensschadens beim Versicherte in der Versicherungszeit ist der Versicherungsfall. Nach diesem Versicherungsfall kann der Versicherte dem Versicherer Versicherungslestung fordern.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책임보험의 본질
Ⅲ. 책임보험에서 사고의 개념 분석
Ⅳ.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상법 제719조에서 “사고”의 개념에 대한 고찰
- 우리나라 국민참여재판제도에 대한 평가
- 칼리클레스 자연법사상의 재해석
- 영미법상의 선례구속의 원칙
- 중국 저작권법의 내용과 판례
- 계약상 이행청구권과 과실상계
- 미국법상 은행이사의 신인의무(fiduciary duty)에 관한 연구
- 등기의 추정력
- 공동불법행위 책임분배의 적정화에 관한 연구
-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구성과 운영에 관한 연구
- 교회분열시 재산귀속과 형사책임의 범위
- 대기발령에 관한 법적 고찰
- 부동산 공시제도 일원화 방안
- 법학전문대학원에서의 임상법학교육방법론
- 공영방송의 프로그램의 자유
- 북한 협동농장 소유제도의 전환문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 디지털포렌식 절차에서 음란물 디지털 증거의 관련성과 문제점 - 대법원 2023도11395 판결을 중심으로
- 미성년 성폭력 피해자 진술분석 면담 영상녹화물의 증거능력에 관한 연구 - 미국의 대면권과 전문법칙 판례 변화를 중심으로
- ‘수사와 기소 분리’ 법률안에 대한 논의와 대안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