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Liability of Joint Tortfeasors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 저자명
- 김상명(Kim, Sang-Myeong)
- 간행물 정보
- 『원광법학』제24권 제1호, 203~226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3.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modern society, the enormous changes in its aspects economic and social have been accompanied by corresponding change in the legal system of torts. Joint tort is a special type of illegal acting, it has a object to project the defender cordially, by the understand joint act as a one thing, and it does not recognize the individual joint tort' exemption and give the joint and several liability to the joint tortfeasors.
As concerns characteristics of liability of joint tort, we regard it is a joint and several obligation. Because it has to provide burden to all, but that's not correspond to the article 760.
I investigated liability of joint offender and cause concurrence with the a wide sense of things by comparative approach. If one of the occurred to the person of joint tortfeasors, for example exemption, prescription and characteristic of judical decision is affect to the other joint offend is not also a will of sufferer but good for them, so we can not admit the absolute effect and the sufferer can the compensation to the other offender.
I suggest to the emphasize on the meaning of the existence of joint tort and deal with a social problem related with joint tortfeasors, we have to lesson or exempt the prove of causal relation between act and loss of the joint person. Also a great deal of effort to relieve the injured person and restrict the matter of mutual combination of jointer, so as to reasonable work out. I wish this study will be a small motivation to develop a new method and keys to fixing the matters concerning liability of the joint tortfeasors.
목차
Ⅰ. 서 론
Ⅱ. 공동불법행위의 책임체계
Ⅲ. 공동불법행위자의 책임문제
Ⅳ. 공동불법행위자의 책임분배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상법 제719조에서 “사고”의 개념에 대한 고찰
- 우리나라 국민참여재판제도에 대한 평가
- 칼리클레스 자연법사상의 재해석
- 영미법상의 선례구속의 원칙
- 중국 저작권법의 내용과 판례
- 계약상 이행청구권과 과실상계
- 미국법상 은행이사의 신인의무(fiduciary duty)에 관한 연구
- 등기의 추정력
- 공동불법행위 책임분배의 적정화에 관한 연구
-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구성과 운영에 관한 연구
- 교회분열시 재산귀속과 형사책임의 범위
- 대기발령에 관한 법적 고찰
- 부동산 공시제도 일원화 방안
- 법학전문대학원에서의 임상법학교육방법론
- 공영방송의 프로그램의 자유
- 북한 협동농장 소유제도의 전환문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 디지털포렌식 절차에서 음란물 디지털 증거의 관련성과 문제점 - 대법원 2023도11395 판결을 중심으로
- 미성년 성폭력 피해자 진술분석 면담 영상녹화물의 증거능력에 관한 연구 - 미국의 대면권과 전문법칙 판례 변화를 중심으로
- ‘수사와 기소 분리’ 법률안에 대한 논의와 대안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