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thodology on the clinical education of the law in the law school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 저자명
- 박광동(Park, Kwang-Dong)
- 간행물 정보
- 『원광법학』제24권 제1호, 61~84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3.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Clinical Education of Law will be introduced to harmonize the theory of the law with the practical business of the law in the law school from January 1. 2009.
It is a hot issue which of the two is more emphasized. If they must be differentiated in the course of law-school, the theory of the law should be emphasized. It is only the issue how the relation of the two should be thaught with a new angle on the problem.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depth and range of the two subject matters through the methodology on the Education of the law.
At the same time it is promoted, the whole process of lawsuits needs to be divided to the course before the suit, under the suit and after the suit. In the case the course should be divided to the case in which it is needed to progress the suits with the high level of the knowledge and performance about the suits and the case in which it is possible to assist.
It is made it possible for the students of the law school to take part in the progress of the suits eagerly when the suit is not launched yet and the suit is under the progress.
In other cases, it is reasonable that the students of the law school should be guided to assist in the most course of suits.
There is another problem how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clinical ecucation fo the law with the practical business and to teach them actively.
The clinical education of the law is important for the harmonization of the two subject matters.
But it needs to make full use of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the area where the law school is addressed and to prepare the program for the clinical education of the law to use the specific characters of a course of study effectively in the University which runs the law school. In that case, however, Universities should not run not only run the one professional clinical education program of the law but also many ones. that is, the students has to be able to study the professional clinical education program of law and get the support to cultivate the capability as a professional lawyer.
목차
Ⅰ. 서 론
Ⅱ. 개념과 기능
Ⅲ. 각 국의 상황
Ⅳ. 문제점과 개선책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상법 제719조에서 “사고”의 개념에 대한 고찰
- 우리나라 국민참여재판제도에 대한 평가
- 칼리클레스 자연법사상의 재해석
- 영미법상의 선례구속의 원칙
- 중국 저작권법의 내용과 판례
- 계약상 이행청구권과 과실상계
- 미국법상 은행이사의 신인의무(fiduciary duty)에 관한 연구
- 등기의 추정력
- 공동불법행위 책임분배의 적정화에 관한 연구
-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구성과 운영에 관한 연구
- 교회분열시 재산귀속과 형사책임의 범위
- 대기발령에 관한 법적 고찰
- 부동산 공시제도 일원화 방안
- 법학전문대학원에서의 임상법학교육방법론
- 공영방송의 프로그램의 자유
- 북한 협동농장 소유제도의 전환문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 디지털포렌식 절차에서 음란물 디지털 증거의 관련성과 문제점 - 대법원 2023도11395 판결을 중심으로
- 미성년 성폭력 피해자 진술분석 면담 영상녹화물의 증거능력에 관한 연구 - 미국의 대면권과 전문법칙 판례 변화를 중심으로
- ‘수사와 기소 분리’ 법률안에 대한 논의와 대안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