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성년 성폭력 피해자 진술분석 면담 영상녹화물의 증거능력에 관한 연구 - 미국의 대면권과 전문법칙 판례 변화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Admissibility of Videotaped Depositions for Child Sexual Offense Victims : Focusing on Confrontation Rights and the Hearsay Rule Cases in the U.S.
발행기관
한국형사소송법학회
저자명
이지우(Ji woo Lee) 이경렬(Kyung-Lyul Lee)
간행물 정보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제17권 제3호, 35~84쪽, 전체 50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8,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헌법재판소는 성폭력처벌법 제30조 제6항 중 19세 미만 성폭력 피해자의 영상진술에 대해 신뢰관계인 등의 진술만으로 증거능력을 인정하도록 한 부분이 피고인의 반대신문권을 침해하여 헌법에 위반된다고 판시하였다. 그러나 진술분석 면담영상녹화물은 반복 진술을 최소화한다는 점, 이로 인한 2차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아동과 미성년자의 보호에 가장 중요한 제도라고 할 수 있으므로 반대신문권 보장의 가치를 미성년 성폭력 피해자 보호의 가치보다 우선시한 헌법재판소결정에 대해 의문이 제기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대면권과 반대신문권에 관한 판례가 중심이 되어 미성년 성폭력 피해자 진술분석 면담 영상녹화제도를 발전시켜 온 미국의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관련 제도 운용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해야 한다. 피고인의 대면권 침해를 기준으로 성폭력처벌법 제30조 제6항의 위헌 여부를 판단한 헌법재판소 결정과 나름 유사하다고 할 수 있는 Coy v. Iowa, Maryland v.Craig, Crawford v. Washington 판결과 미성년 성폭력 피해자 진술분석 면담 영상녹화를 명시적으로 규정한 VCAA 규정 등을 살펴본 결과, 대면권 보장과 진술분석면담 영상녹화는 공정한 재판을 위해 상충하는 개념이 아니라 조화롭게 실현될 수 있는 가치임을 확인할 수 있다. 공정한 재판은 피고인뿐만 아니라 피해자에게도 헌법상 중요한 가치로서 적용되어야 하며, 따라서 향후 우리나라 역시 피고인의 대면권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진술분석 면담 영상녹화의 증거능력을 인정하는 방안을 보다 명확히 정립하고, 진술분석 면담 영상녹화의 증거능력을 탄력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준 또한 마련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Constitutional Court held that the Article 30 Paragraph 6 of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unishment of Sexual Crimes, which allows videotaped deposition of a child sexual assault victim solely based on the testimony of a trustworthy person present during the interview process, is unconstitutional since the Article violates the defendant’s right to cross-examine the witness. However, videotaped deposition of a child is crucial means of minimizing repeated statements, thereby preventing secondary victimization. Therefore, it is inevitable to raise questions regarding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that prioritized the defendant’s right over the protection of child victims of sexual violence. And to critically analyze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similar cases of the United States since, like South Korea, judicial precedents concerning the right to confrontation and cross-examination have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videotaped deposition of a child sexual assault victim. An examinat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along with relevant U.S. Supreme Court cases such as Coy v. Iowa, Maryland v. Craig, and Crawford v. Washington, as well as the statutory provisions of the Victims of Child Abuse Act (VCAA), reveals that the guarantee of the right to confrontation and the use of the videotaped deposition of a child sexual assault victim are values that can be harmonized in the interest of a fair trial. A fair trial is a constitutional right that must apply not only to the defendant but also to the victim as well. Therefore, South Korea should not only clearly establish a legal framework that recognizes the admissibility of videotaped deposition of a child sexual assault victim without infringing the defendant’s right to confront witness, but also develop flexible standards for such admissibility as well.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수정 헌법 제6조와 범죄 피해 아동 진술 영상녹화
Ⅲ. 피해 아동 보호를 위한 입법적 대응
Ⅳ. 피해 아동 법정 밖 진술과 전문법칙의 관계
Ⅴ. 비교법적 시사
Ⅵ.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지우(Ji woo Lee),이경렬(Kyung-Lyul Lee). (2025).미성년 성폭력 피해자 진술분석 면담 영상녹화물의 증거능력에 관한 연구 - 미국의 대면권과 전문법칙 판례 변화를 중심으로.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17 (3), 35-84

MLA

이지우(Ji woo Lee),이경렬(Kyung-Lyul Lee). "미성년 성폭력 피해자 진술분석 면담 영상녹화물의 증거능력에 관한 연구 - 미국의 대면권과 전문법칙 판례 변화를 중심으로."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17.3(2025): 35-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