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 권리침해책임법 제36조에 관한 연구
이용수 73
- 영문명
- A Study on the Article 36 of Chinese Tort Liability Law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 저자명
- 박규용(Park, Kyu-Yong) 서세걸(Xu, Shi-Jie)
- 간행물 정보
- 『법학논총』제20권 제1호, 275~29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4.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컴퓨터와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사람들의 생활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인터넷을 통한 불법행위는 타인의 민사권익을 침해할 뿐만 아니라 인터넷산업의 건전한 발전도 저해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현실을 고려하여 중국의 「권리침해책임법」 제36조는 인터넷 불법행위에 대한 기본규정을 두고 있고, 여기에 규정되어 있는 내용을 명확하게 해석하고 각 조항의 입법취지를 정확히 이해함으로써 민사권익을 보호하는 동시에 인터넷산업을 발전시키는 문제에 대한 사회의 관심은 점차 증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중국에서 인터넷 불법행위와 관련하여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는 규정들을 소개한 후, 권리침해책임법 제36조의 각 조항에서 규정하고 있는 내용에 대해서 분석하고자 한다. 먼저 제1항에서의 책임의 주체로서 인터넷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이해와 책임의 범위 그리고 동법 제6조 제1항과의 관계를 살펴본다. 다음으로 제2항에서 특별히 주의해야 할 개념과 통지조항을 적용함에 있어서 발생 가능한 문제를 정리한다. 마지막으로 제3항에서 규정하고 있는 ‘알고 있다’가 내포한 뜻과 그의 판단 기준 그리고 제2항과의 관계를 연구한다.
영문 초록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people’s daily life has changed a lot. Internet infringements have become prominent. It not only violates the others’ civil rights, but also hinders the healthy development of internet industry. The Article 36 of Tort Liability Law is enacted to solve such problems. Before applying the Article 36, the more important things is that how to comprehend and interpret it, such as the purpose of Tort Liability Law and this article, the real concepts of the same words in the provisions, and how to balance the relationship of protecting people’s civil rights and promoting the internet industry. This paper introduces the legislation related to the internet infringements and makes an analysis of the Article 36 of Tort Liability Law, such as how to understand the concepts of internet service provider in three provisions of Article 36, the key words in every provision and so on. The most important point is that how to understand the second provision of Article 36. For example, when will the notifications come into force, and how to apply the procedure of notification. Then the liability of internet service provider in different circumstances is another focus in this paper.
목차
국문초록
Ⅰ. 인터넷상의 불법행위에 관련된 입법현황
Ⅱ. 일반규정으로서 자기책임조항
Ⅲ. ‘통지’조항에서의 권리침해책임
Ⅳ. ‘인지’조항에서의 권리침해책임
Ⅴ.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불문경고의 법적성격에 대한 고찰
- 미국의 지역권 수용에 관한 연구
- 공인전자주소제도의 법적 효력에 관한 검토
- 가족관계등록법의 문제점 및 그 개선방안
- 재외 탈북자 보호와 정착촌 설치문제
- 건축법령상의 일조확보 기준과 민사책임법상의 일조기준 사이의 괴리와 혼미
- 성폭력범죄에 대한 대응의 재검토
- 진료기록의 편중성과 진료기록 기재의무 위반에 관한 고찰
- 통신시장에서 시장지배적 지위남용 규제의 고찰
- 변호사의 법률의견서와 증거능력
- 지주회사의 규제에 관한 법적 연구
- 소년법의 소년보호이념으로서 교육사상
- 자체완성적 신고와 행정요건적 신고의 구분
- 이른바 ‘잊혀질 권리’와 개인정보보호
- 개인정보취급방침 심사와 개인정보보호 감사제도 도입방안
- 야간주거침입절도죄의 실행의 착수시기와 야간에 해당하는 행위
- 이른바 ‘공공대출권’의 도입에 관한 법경제학적 논고
- 이행강제금과 명의수탁자의 형사책임 문제
- GPS 위치정보와 영장주의
- 개인정보 국외이전에 관한 소고
- 중국 권리침해책임법 제36조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