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잠재성장모형과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활용한 종단매개효과 검증

이용수  6,198

영문명
Longitudinal Mediation Analysis Using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and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Mediation Effects of Self-Esteem in the Influence of Parent-Child Relationship to Depression
발행기관
한국교육평가학회
저자명
박현정(Park, Hyun-Jeong) 이진실(Lee, Jinsil)
간행물 정보
『교육평가연구』제26권 제1호, 83~10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3.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잠재성장모형과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활용한 종단매개효과의 검증방법을 소개하고, 이를 활용하여 부모자녀관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종단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방법은 독립변인, 매개변인, 종속변인의 변화양상 간의 관계를 검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자기회귀교 차지연모형을 활용한 방법은 시간적 선행성을 고려할 수 있고 매개변인과 종속변인의 이전 상태를 통제한 후 효과를 추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여 종단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고등학교 시기동안 부모자녀관계의 향상도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더 큰 폭으로 향상되었고 우울은 더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활용해 분석했을 때에도, 고1때 부모자녀관계가 긍정적일수록 고2때 자아존중감이 높았고 고3때 우울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모형에서 모두 부모자녀관계가 우울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는 매개효과만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종단적으로도 유의하게 존재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paper was to analyze longitudinal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in the influence of parent-child relationship to depression during high school. To do this,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and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were adapted to KYPS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diation effects of self-esteem were significantly existed in longitudinal data. First, the results from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showed that students whose growth rates of parent-child relationship was high represented high growth rates of self-esteem. And the students whose growth rates of self-esteem is high represented high decline rates. Second, the results from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showed that the students whose parent-child relationship was high in 10th grade represented high self-esteem in 11th grade. And the students whose self-esteem is high in 11th grade represented low depression in 12th grade. In the results from two models, the mediation effects were significant, but direct effects of parent-child relationship on depression were non-significant.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현정(Park, Hyun-Jeong),이진실(Lee, Jinsil). (2013).잠재성장모형과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활용한 종단매개효과 검증. 교육평가연구, 26 (1), 83-106

MLA

박현정(Park, Hyun-Jeong),이진실(Lee, Jinsil). "잠재성장모형과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활용한 종단매개효과 검증." 교육평가연구, 26.1(2013): 83-1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