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Why do we evaluate a program?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이원석(Wonsuk Lee)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26권 제1호, 1~1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기관 평가를 비롯하여 각종 교육 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실제 그 평가 결과가 해당 교육 기관이나 프로그램, 나아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그러한 관심과 영향력에 비해 프로그램 평가가 무엇인지, 왜 프로그램을 평가하여야 하는지 등 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본질적이고 이론적 논의는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우선 프로그램 평가의 발전 과정과 전통적인 목적을 살펴본 후, 최근 부각되고 있는 프로그램 평가의 대안적 목적, 즉, 프로그램의 이해 및 향상, 지식의 발전, 대리적 경험의 제공, 민주적 과정과 사상의 강화를 심층적으로 검토한다. 아울러 프로그램 평가 목적 선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평가 목적이 평가 실제에 주는 영향을 분석한다.
영문 초록
Why do we evaluate a program? This article investigates traditional purposes and alternative purposes of program evaluation and some issues surrounding the purposes of program evaluation. According to the history of program evaluation the traditional purposes are decision-making and accountability. But alternative purposes have been recognized in evaluation theory and practice, which are program understanding and improvement, development of knowledge, representation of vicarious experiences, and enhancing democratic processes and ideals. This article deals with these diverse purposes of program evaluation, factors influencing the selection of the purposes, and the effects of the purposes on evaluation practices.
목차
Ⅰ. 서론
Ⅱ. 프로그램 평가의 의의
Ⅲ. 프로그램 평가의 목적
Ⅳ. 우리나라 프로그램 평가에의 시사점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정문항모수 추정방법에서 고유문항의 난이도 극단 특성이 척도변환에 미치는 영향
- 대학평가에서 활용되는 취업률 지표의 문제와 개선 방안
- 검사 자동 구성을 위한 선형계획법과 가중편차법의 효율성 비교
- 산업계 관점의 대학교육에 대한 평가
- 2011년 기초학력 향상도 평가의 분류일관성, 기초학력 도달 비율, 그리고 하위 단계 성취 정도와 학년말 기초학력 도달간 관계
- 선형 성장혼합모형에서 잠재집단 간의 거리와 잠재집단의 분포형태가 모수추정과 잠재집단 수 결정에 미치는 영향력 검토
- 잠재성장모형과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활용한 종단매개효과 검증
- Effects of Relaxed Statistical Assumptions for Anchor Test Construction and Non-equivalence of Proficiency Distributions on Equating Accuracy
- 우리는 왜 프로그램을 평가하는가?
- 원점수 분포 최적화를 위한 문항 난이도 구성 방안
- 초등 예비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기반한 개념 기반 탐구학습의 설계 및 적용
- 증강텍스트 읽기 수업에 대한 독자의 흥미 연구
- 공통국어 1 수행평가의 문제 양상 분석 - 수행평가의 내실화와 성취 수준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