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tudent assessment literacy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박정(Chung Park)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26권 제1호, 15~3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 교사의 평가전문성 함양을 위해 교사교육에서 어떠한 노력을 해야 할지 숙고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우선 예비 초등교사들이 평가영역들을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스스로 평가에 대한 소양이 어느 정도나 있다고 생각하는지 파악하고 평가 강좌의 수강과 교육실습이 이들의 평가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평가 영역에 대해 3학년에 비해 4학년이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4학년의 경우 평가 강의를 수강한 학생들이 평가를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소양에 대해서는 3학년과 평가 강의를 수강하지 않은 4학년은 비슷하게 인식하고 있었고 평가 강의를 수강한 4학년이 스스로의 소양정도가 높은 것으로 인식하였다. 3학년과 평가 강의를 수강하지 않은 4학년은 평가소양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없어 교육실습이 평가전문성에 미치는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sider how to develop elementary teachers' assessment literacy in teacher's education. To do this, it was investigated wha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ought of importance and their own competency in student assessment and the field training and an assessment class in the teacher education was effected on the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enior students perceived assessment importantly in comparison with the junior students. Among the senior students, the students taking the assessment class thought of important student assessment than others. The senior students taking the assessment class perceived themselves as having competency than the junior and the senior students who were not taking the assessment. The results showed that filed training had no effect on pre service elementary teachers' assessment literacy.
목차
Ⅰ. 서론
Ⅱ. 교사의 학생 평가전문성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요약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정문항모수 추정방법에서 고유문항의 난이도 극단 특성이 척도변환에 미치는 영향
- 대학평가에서 활용되는 취업률 지표의 문제와 개선 방안
- 검사 자동 구성을 위한 선형계획법과 가중편차법의 효율성 비교
- 산업계 관점의 대학교육에 대한 평가
- 2011년 기초학력 향상도 평가의 분류일관성, 기초학력 도달 비율, 그리고 하위 단계 성취 정도와 학년말 기초학력 도달간 관계
- 선형 성장혼합모형에서 잠재집단 간의 거리와 잠재집단의 분포형태가 모수추정과 잠재집단 수 결정에 미치는 영향력 검토
- 잠재성장모형과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활용한 종단매개효과 검증
- Effects of Relaxed Statistical Assumptions for Anchor Test Construction and Non-equivalence of Proficiency Distributions on Equating Accuracy
- 우리는 왜 프로그램을 평가하는가?
- 원점수 분포 최적화를 위한 문항 난이도 구성 방안
- 초등 예비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기반한 개념 기반 탐구학습의 설계 및 적용
- 증강텍스트 읽기 수업에 대한 독자의 흥미 연구
- 공통국어 1 수행평가의 문제 양상 분석 - 수행평가의 내실화와 성취 수준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