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술과 교육과정분석을 통한 다문화미술교육 방향 연구

이용수  3,899

영문명
A Study o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2009 Revision of the Korean National Art Curriculum
발행기관
한국미술교육학회
저자명
박순덕(Soon Duk Park) 김영순(Youngsoon Kim)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26券 2號, 331~35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8.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미술교육의 동향인 다문화 미술교육과 연계하여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미술과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미술교육에서 다문화 교육을 어떻게 적용할 것 인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문화 미술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한 맥피(Mcfee) 스튜어(Stuhr), 미국의 미 술 학회 (National Art Education Association)의 입장들, 교육과학기술부의 미술과 교사용 지도서 등을 통해 다문화 미술교육의 개념, 목표, 내용 등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를 토대로 하여 다문화 미술교육 내용분석 틀을 구안하였으며, 이 틀을 통해 2009개정교육과정에 따른 미술과 교육과정의 목표,내용, 교수·학습, 평가 영역을 분석하였다 특히 각 영역별로 다문화 미술교육 내용이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고찰하였다. 분석결과 2009개정미술과 교육과정에서 다문화 미술교육이 반영되긴 하였지만 체계적으로 반영되지 못하였고 미흡한 부분이 많이 보였다. 다문화 미술교육은 다양한 관점의 예술 작품을 통해 타문화에 대한 오해와 편견, 차별을 줄일 수 있고, 다양성이 공존하는 현실을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미래 사회를 살아가는 역량을 키울 수 있다. 그러므로 미술이 사회 문화작인 구성물이라는 다문화 미술교육의 관점을 반영하고 미술품이 만들어진 사회적 맥락에서 이해되고 재구성 되어야 하며, 교육과정에 체계적으로 다문화미술교육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2009 Revision of the Korean National Art Curriculum in how it reflects the multicultural art education. Not only that provide suggested improvement to promote in relation to the multicultural education within primary art education. We have developed a framework from my studies of contemporary American Art Education Association and several prominent multicultural articles. By applying a framework for multicultural art education, 2009 Revision of the National Art Curriculum were analyzed. 2009 Revision of the National Art Curriculum of that curriculum objectives, content, teaching and learning, and assessment focusing o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that reflects how the contents were analyzed. And proposing effective direction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Art can be a good medium of multicultural education, since a work of art can directly provide cultural values and principles. Multicultural Art Education can overcome prejudice and misunderstandings toward other cultures. In addition it enriches the ability that makes a student accept the reality in which they coexist with a diversity and empowers them to grow up with an open min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다문화 미술교육 이론적 탐색
Ⅲ.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미술과 교육과정 분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순덕(Soon Duk Park),김영순(Youngsoon Kim). (2012).미술과 교육과정분석을 통한 다문화미술교육 방향 연구. 미술교육논총, 26 (2), 331-358

MLA

박순덕(Soon Duk Park),김영순(Youngsoon Kim). "미술과 교육과정분석을 통한 다문화미술교육 방향 연구." 미술교육논총, 26.2(2012): 331-3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