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07 개정 중학교 미술 교과서에 나타난 ‘재료’의 접근 방식에 대한 분석
이용수 540
- 영문명
- A Study on the 'Material' Approach Analysis of Middle School Textbooks on the 2007 Curriculum Revision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심효진(Hyo Jin Shim)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26券 2號, 145~17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8.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재료는 모든 조형 활동에 앞서 기본이 되어야 하는 물성 체험과 미적 앎의 토대가 된다. 미술가나 학습자의 재료에 대한 이해는 곧 미술 표현활동과 미술 작품의 감상이나 향수로 연결되기 때문에 성공적인 미술 활동을 위해서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미술 교과서에 나타난 ‘재료’에 대한 내용 분석을 통해 학습자가 체험하려는 특별하면서 조형적인 인식 여부가 ‘재료’에 어떠한 접근 방식으로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교과서에서 나타난 재료’의 접근 방식에는 첫째,조형요소와 원리의 설명을 위한 접근과 둘째,기법적 혹은 양식적인 접근 셋째,현대미술의 개념적인 접근,넷째,물성 체험과 실험적인 접근 방식으로 특징지을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조형 활동의 기초가 되는 ‘재료’ 대한 직접적 체험과 확장된 개념의 이해를 기반으로 ‘재료’에 접근 하는 방식이 요구된다 학생 개개인의 조형 경험의 기회를 확대하여 다양한 물성의 경험과 적절한 테크닉을 구사하도록 하는 것이 감정과 정서를 시각화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리고 재료의 탐구과정에서 습득한 교육적 경험은 삶을 풍요롭게 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영문 초록
Materials are mandatory for art, and the experience of materials is important to students to express visually with their emotions and feelings. Understanding of materials is one of the important elements because it could expand diverse art studio activities and help to comprehend works of a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how the contents of materials approach to the learning of art for students. This study examines chapters titled 'material' in 2007 revised middle school art textbooks in order to find its characteristic features including recognition and approach methods of materials. Approaches to materials in the textbook are discussed as the followings.
First, to explain formative elements and principles
Second, to interpret techniques and styles of art
Third, to consider concepts of contemporary art
Fourth, to experience materials itself and use medium experimentally
The discover of potentials on materials must be useful for creating art work to express one's emotions, however experiencing materials and making art works could help students to develop their creativity and deepen their experience. Therefore, in art education, materials should be used actively with students' participation. and teachers should consider making art class environment more effectively way and encourage them to find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in their own way.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미술에서 재료에 대한 고찰
Ⅲ. 미술교육에서 재료와 조형 활동
Ⅳ. 교과서별 ‘재료’에 대한 단원·내용 분석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무형문화유산을 활용한 미술교육 효용 연구
- 미술관 가족프로그램을 통한 소통과 관계변화
- 웹 2.0 환경의 구성주의 교육적 함의화 미술교육에의 적용에 관한 기초 연구
- 2009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체험’에 관한 논의
- 2007 개정 초등학교 미술 교과서의 전통문화에 관한 내용 분석 연구
- 2007 개정 중학교 미술 교과서에 나타난 ‘재료’의 접근 방식에 대한 분석
- 미술과 교육과정분석을 통한 다문화미술교육 방향 연구
- 생태적 정체성의 내면화를 위한 가치지향 생태미술교육
- 예술교육에 있어 리(理)와 기(氣)의 융합적 표현 연구
- 사이버스페이스 시대 시각문화교육에서 디지털의 매체론적 함의와 교육 방향
- 유아들의 색상인지 발달에 관한 연구
- 교육대학원 미술교육 운영 분석 및 만족도 조사 연구
- 종합일간지 미술기사 분석으로 본 한국사회의 미술 대중화
- 1920~1940년대 초등미술교과서에 나타난 투영도법 연구
- 일제식민지시기 대만 사범학교 미술교육
- 한국과 일본의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과 교사 커뮤니티에 의한 미술 교육의 확충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2025년 춘계학술대회 목차
- 요식업 점주의 컨텍스트 정보 수집 및 예측을 통한 매장관리 서비스 - 배달 플랫폼을 중심으로
- AI를 통한 캐릭터 생성에 필요한 캐릭터의 Uniqueness 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