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사회중심의 방과후 아동보호를 이용하는 부모의 욕구와 만족도에 대한 연구
이용수 161
- 영문명
- A Study on the Parents’ Needs of and Satisfaction with Community-Based After-School Childcare Programs in Daejeon
- 발행기관
- 지역사회학회
- 저자명
- 노병일(RHO Byeongil) 김현채(KIM Hyun Chae)
- 간행물 정보
- 『지역사회학』지역사회학 제7권 제1호, 167~19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빈곤은 아동발달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므로, 저소득층 아동에게 양질의 방과후 보호를 제공하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 그러나 저소득 지역사회의 주민들은 학령기 아동에게 방과후 보호를 제공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려운 경우가 많다. 따라서 방과후 아동보호를 생태학적 관점에서 볼 경우에, 저소득 지역사회의 기관이나 조직이 제공하는 방과후 아동보호는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대전광역시의 방과후 보호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아동
의 부모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욕구와 인식을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자의 다수는 참여중인 방과후 아동보호 프로그램의 필요성 및 효과에 대해 아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고 또한 프로그램에 대해 크게 만족하고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rovision of quality after-school care for the children living with poor or low-income families is of great significance, because poverty is supposed to influence child development in a negative manner. In many
cases, however, the residents in low-income community are not able to afford proper after-school care to their school-aged children. Thus, from the vantage point of an ecological perspective, after-school childcare provided
by community institutions or organizations assume the utmost importance.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at studying the parents’ needs, perceived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with the after-school program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7 parents whose child(ren) were participating in 10 community-based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Metropolitan Daejeon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most of the respondents were positive with regard to the need and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and were very satisfied with them.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론적 고찰
Ⅲ. 조사 설계
Ⅳ. 조사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학분야 BEST
- 간호대학생의 정신질환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 - 정신간호실습 전ㆍ후 비교
- 외국인 근로자의 건강정보 취득 어려움과 관련된 요인
- 지방 종합병원 밀레니얼 세대 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사회과학 > 사회학분야 NEW
- 지역사회학 제26권 제1호 목차
- 희망과 존재 의미의 개인적, 사회적 조건: 아시아 3개국 비교를 중심으로
- 주택 재산권 보유 여부가 주거만족도와 주거선호에 미치는 영향: 신혼부부 가구를 대상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