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역의 보수성 비교

이용수  121

영문명
Comparison of Regional Conservativeness in Korea
발행기관
지역사회학회
저자명
최태룡(CHOI Tae-Ryong)
간행물 정보
『지역사회학』지역사회학 제7권 제1호, 29~5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12.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시군 단위 수준에서의 지역적 보수성의 정도를 보수성 지수를 만들어 비교하였다. 지수 구성에 사용된 지표는 2004년 민주노동당 지지율, 1995년 이후 지역에서 선출된 공직자들의 평균 연령, 지난 4년간의 출생 성비, 2000년의 단독주택의 비율, 지난 5년간의 주민 이동 비율 등이었다. 출생성비를 제외한 나머지 4개 지표들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군부지역이 시부 지역에 비해 더 보수적이었고, 수도권 지역의 도시들이 덜 보수적인 반면에, 경상북도와 충청남도의 시군들이 더 보수적이었다. 시도별 수준에서 5개의 지표를 사용한 지역 비교의 결과에서도 역시 경상북도와 충청남도가 가장 보수적인 반면, 인천과 울산, 경기의 보수성 점수가 낮았다. 설명변수로 노령화 정도, 지역의 인구 규모, 농업 인구 비율, 재정 자립도 및 지역구분 가변수를 설정하여 회귀분석을 하였는데, 노령화 정도가 가장 중요하게 지역의 보수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부만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는 경상도 지역 가변수가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으며, 군부 지역만을 보면, 호남 지역이 상대적으로 덜 보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군단위 수준의 집합 통계가 더욱 갖추어지면 더욱 적절한 지수 구성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A measure is constructed to compare the degree of regional conservativeness of all Korean cities and counties. Five indicators are used: 1) proportion of votes obtained by Democratic Labor Party in 2004; 2) average age of the elected officials since 1995; 3) average birth sex ratio during previous 4 years; 4) proportion of detached dwellings in 2000 census data; and 5) average migration rate during previous 5 years. Four indicators except sex ratio are highly correlated. County regions are more conservative than city regions, and the capital metroploitan regions are less conservative, while cities and counties in Gyeongsanbuk-do and Chungcheongnam-do are more conservative. The results of comparison among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reveals the similar pattern. Gyeongsangbuk-do and Chungcheongnam-do are more conservative, while the conservativeness scores of Incheon and Ulsan metropolitan cities and Gyeonggi-do are lower.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aged-child ratio, natural logarithm of population size, proportion of farmhouse population, degree of financial self-reliance and 3 region dummy variables as independent variables shows that the aged-child ratio has the most explanatory power.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보수성과 보수주의
Ⅲ. 연구 가설
Ⅳ. 사용된 변수들과 측정
Ⅴ. 지역의 보수성 순위
Ⅵ. 연구가설의 경험적 검증
Ⅶ. 논의와 한계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태룡(CHOI Tae-Ryong). (2005).지역의 보수성 비교. 지역사회학, 7 (1), 29-52

MLA

최태룡(CHOI Tae-Ryong). "지역의 보수성 비교." 지역사회학, 7.1(2005): 29-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