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방정부와 시민사회단체간의 뉴 거버넌스 관계 연구
이용수 565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New Governance Between Local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Organization
- 발행기관
- 지역사회학회
- 저자명
- 김영래(KIM Young Rae)
- 간행물 정보
- 『지역사회학』지역사회학 제7권 제1호, 75~10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지방화 시대(Age of Localization)를 맞이하여 변화된 정치사회 환경에서 지방정치가 어떠한 거버넌스를 형성하여 지역사회를 운영하고 있는가를 고찰하였다. 특히 최근 주요한 정치행위자(political actor)로 등장하고 있는 시민사회단체가 지방정부와 종래와는 다른 새로운 관계 설정을 통하여 거버넌스를 형성하고 있는가에 초점을 두어 연구하였다.
시민사회단체 (Civil Society Organizations: CSO)는 최근 정책결정과정이나 국민여론 형성에 있어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으며, 이는 지역사회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특히 지방화 시대에 있어 국가 및 지역발전을 위한 동인으로서의 지방정부와 시민사회단체간에 형성되는 뉴거버넌스는 새로운 정치사회 운영체제로서 등장하고 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거버넌스보다 뉴 거버넌스는 시민사회단체와의 관계를 더욱 심화시키는 운영체로서 새로운 파트너십의 정립이라는 차원에서 지방정부와 시민사회단체간에 상호 협력관계를 더욱 강화시키고 있다는 인식하에 일본 지방정부에서 실시되고 있는 뉴 거버넌스의 사례 고찰을 통하여 지방정부와 시민사회단체간의 뉴 거버넌스 정립 방안을 논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to focus on the relationship of new governance between local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organizations. The 21st century is, so we called, age of localization and age of civil society. These two concepts are major influential factors in the explanation of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s.
Recently the term of governance is useful in analyzing on the management of local government with regards to civil society organizations as one of political actor. In particular, the concept of new governance is to be assumed as new institution for partnership between local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organization. In this paper, the case of new governance between local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organization is those of Japanese experiences.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한국의 시민사회단체의 발전 개요
Ⅲ. 지방정부와 시민사회단체간의 관계 유형
Ⅳ. 뉴 거버넌스와 지방정부・시민사회간의 파트너십 관계
Ⅴ. 지방정부와 시민단체간의 파트너십 목표
Ⅵ. 지방정부와 시민사회단체간의 파트너십 제약요인
Ⅷ.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학분야 BEST
- 간호대학생의 정신질환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 - 정신간호실습 전ㆍ후 비교
- 외국인 근로자의 건강정보 취득 어려움과 관련된 요인
- 지방 종합병원 밀레니얼 세대 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사회과학 > 사회학분야 NEW
- 지역사회학 제26권 제1호 목차
- 희망과 존재 의미의 개인적, 사회적 조건: 아시아 3개국 비교를 중심으로
- 주택 재산권 보유 여부가 주거만족도와 주거선호에 미치는 영향: 신혼부부 가구를 대상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