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과 미국의 대학 교양 교육에 나타난 통합의 특징 분석
이용수 772
- 영문명
- A Study on the Integrated Courses in General Education at the Universities
- 발행기관
- 한국비교교육학회
- 저자명
- 조덕주(Jo, Dukjoo) 최연주(Choi, Yeonjoo)
- 간행물 정보
-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22권 제2호, 129~163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6.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양교육에서 통합의 특징이 얼마만큼 그리고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것이었으며 주요 연구내용은 첫째, 대학 교양교육과정의 구조 및 하위영역의 특징, 둘째, 영역별 통합의 정도, 셋째, 통합의 방식 등이었다.
연구 결과, 첫째, 연구대상 대학의 교양교육 영역명은 모두 통합적 성격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과목명에도 그러한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둘째, 영역별 통합 정도에 있어 각 영역에 포함된 모든 과목이 통합 과목은 아니었다. 셋째, 통합 방식은 거미줄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한 시사점으로서, 첫째, 학생들에게 통합적 경험을 제공하기 위하여 대학별 맥락에 따른 교양교육 구조가 마련되어야 한다는 점, 둘째, 통합교육의 도입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서는 영역명부터 통합적 성격을 갖도록 해야 한다는 점, 셋째, 모든 과목을 통합과목으로 제시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 넷째, 통합의 절차는 공유형에서 거미줄형으로 나아가는 것이 현실적일 수 있다는 점 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grated courses in General Education at the universities as a way to find implications for the curriculum development of General Education .
The subjects of analysis were 1) the structure of General Edu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courses in General Education 2) the number of integrated subjects in each courses, 3) the ways to integrate academic fields. This results were as follows. 1) All titles of courses in General Education adopted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2) Not all the subjects which were involved in each courses have interdisciplinary characteristics 3) The webbed approach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way to integrate academic field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brought several implications to us for improving qualities of General Education. 1) To make it easier to integrate academic fields, it had better name titles of courses in interdisciplinary approach 2) Even though a course aims to be interdisciplinary, it is not necessary all the subjects to be integrated. 3) There is not only one way to integrate academic fields. And it is desirable to use blended approaches to integrate fields -these are the webbed approach, the shared approach and threaded approach.
목차
< 요 약 >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대학 교양교육과정의 통합의 특징 분석
Ⅳ. 대학 교양교육과정 통합의 경향 요약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