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Review of the Supplemental Educational Services in U.S.
이용수 191
- 영문명
- 미국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보충교육 관리 사례 및 시사점
- 발행기관
- 한국비교교육학회
- 저자명
- 주현준(Joo, Hyun-Jun) 이진(Lee, Jin)
- 간행물 정보
-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22권 제2호, 27~4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01년 The No Child Left Behind [NCLB]법이 제정된 이후, 자유경쟁의 시장원리에 기반한 학교선택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었지만,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따른 후속 조치 중 하나인 보충교육(the Supplemental Educational Services)에 관한 정보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NCLB법에 따라 보충교육을 이행하고 있는 캘리포니아주, 일리노이주, 뉴욕 주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 보충교육 자격을 사교육 영역까지 확대하여 허용, 2) 행정규칙과 규정에 근거한 모니터링 실시, 3) 학생의 학력향상에 근거한 보충교육 공급자의 적합성 판단등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미국 사례 분석결과를 토대로 한국의 국가수준학업 성취도 평가와 관련된 보충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보충교육 제공자에 대한 제한성과 다양성 측면과, 현행 교사 중심의 공적인 방식과 사적인 영역으로의 확대 등을 논의 하였다.
영문 초록
Despite the vast research on The No Child Left Behind [NCLB], little is argued about the Supplemental Educational Services provisions [SES]. This study investigates state efforts to manage SES provider’s quality so as to suggest the implications of a supplemental education for a nation-wide standard test policy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administrative codes, regulations and policy guidelines concerning SES providers of three states; California, Illinois, New York.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eligible applicants for SES are involving more various stakeholders including private business, 2) to monitor SES providers follows the due process based on regulations and administrative codes, 3) the termination of contract with SES providers depends largely on students’ test scores. As a result, the study discussed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of a supplemental education for a nationwide standardized test policy in Korea.
목차
< Summary >
Ⅰ. Introduction
Ⅱ. Background
Ⅲ. Method and Data
Ⅳ. Findings
Ⅴ. Discussions and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