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독일의 이주청소년을 위한 교육지원 정책

이용수  1,131

영문명
Germany’s Education Support Policy for Immigrant Youth
발행기관
한국비교교육학회
저자명
정수정(Jung, Su Jung) 류방란(Ryu, Bangran)
간행물 정보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22권 제2호, 47~77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6.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이 이주 노동자의 장기 체류와 가족 이주를 제한하고 있듯이 독일도 전후 산업화 과정에서 이주노동자를 대량 유입했음에도 1990년대에 이르기까지 이주 노동자의 단기 체류와 순환 정책을 기조로 하였다. 독일은 최근에서야 이주법을 제정하여 이주민을 위한 사회통합을 법적으로 공식화하였다. 아직 이주 노동자나 이주 배경 청소년의 비율이 독일에 비해 훨씬 낮으나 다문화사회를 전망하며 이글에서는 독일에서 추진하는 이주 배경 청소년을 위한 교육지원 정책의 방향, 주요 지원 정책, 사례 등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독일은 초중등교육 정책이 주 정부의 권한에 의해 추진되나 이주 배경을 지닌 인구의 증가에 따라 부각된 사회통합의 과제에 직면하여 연방 차원에서 기본 방향을 설정하고 있다. 사회통합을 위해 교육이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고. 이주배경을 지닌 청소년들을 위해 독일어 능력 향상을 위한 언어교육과 다차원적 통합적 지원을 지향하고 있다. 독일어를 교육하기 위한 대표적인 정책으로 푀어믹 정책, 통합적 지원을 위한 이주청소년지원사업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또한 구체적인 학교 사례를 통하여 통합적 지원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기술하였다. 끝으로 독일의 이주배경 청소년들을 위한 정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영문 초록

As Korea limited long-term stay of migrant workers and immigration of their families, Germany, which had granted immigration of workers during the post-war industrialization period, established short-term stay and circulation policy as keynotes of the nation’s policy for migrant workers by 1990s. Recently, Germany enacted the Migration Law and made social integration for workers formal in legal perspective. Though the ratio of migrant workers or immigrant youth of Korea is far lower than that of Germany, Korea is heading to multi cultural society, and thereby this paper is purposed to study direction of education support policy, major education support policy, and examples of such policy of Germany, which will be an implication for Korea. In Germany, educa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had been conducted based on the authority of the state government, but increase in migrants got Germany face with the issue of social integration, and consequently, the federal government has come to establish the basic direction of the education policy. Based on the insight that education is playing a pivotal role in social integration, the government is supporting language education for improvement of Germany and providing multidimensional support for immigrant youth. As to the representative education policy to teach Germany, For migrant youth, several policy has been studied, and details of the immigrant youth support project for integrated support have been observed. Detailed examples have been used to describe how the integrated support has been given. Finally, an implication from the Germany’s policy for immigrant youth has been described.

목차

< 요 약 >
Ⅰ. 서 론
Ⅱ. 독일의 이주민 정책과 이주배경 청소년
Ⅲ. 이주청소년 교육지원 정책
Ⅳ. 독일 이주청소년 교육지원의 특징과 문제점
Ⅴ. 정책적 시사점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수정(Jung, Su Jung),류방란(Ryu, Bangran). (2012).독일의 이주청소년을 위한 교육지원 정책. 비교교육연구, 22 (2), 47-77

MLA

정수정(Jung, Su Jung),류방란(Ryu, Bangran). "독일의 이주청소년을 위한 교육지원 정책." 비교교육연구, 22.2(2012): 47-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