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最近 定期船社의 東아시아 地域 寄港 패턴의 變化에 關한 考察
이용수 2
- 영문명
- A Study on the Calling Pattern in Liner Shipping Industry - Focused on East Asia Area -
- 발행기관
- 한국물류학회
- 저자명
- 오용식(Oh, Yong-sik) 구경모(Koo, Kyoung-mo)
- 간행물 정보
- 『물류학회지』제16권 제1호, 23~3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3.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컨테이너선의 대형화가 정기선의 항로구성에 있어서, 특히 허브-스포크형 네트워크에 실제로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쓰여졌다.
본 조사의 결과, 최근의 정기선 기간항로는 허브-스포크형으로 단순화하여 정의하기에는 많은 요인들이 그 항로구성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선박의 대형화가 반드시 기항지를 감소시켜 허브-스포크화를 촉진하는 것은 아니라는 반증을 발 견했다.
오히려, 공동운항, 제휴, 인수합병 등으로 선대를 충분히 확보한 선사들은 항로의 수를 증가시켜, 기존 기항항만에 기항규모를 줄이지 않고도 신규항만에 기항할 수 있게 되었다. 그 결과 중국과 동남아의 신흥항만이 신규항로에 참여하게 되었고, 정기선사의 항로망은 한층 복잡 하고 다양한 형태를 띄어가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향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을 중심으로 동아시아 경제의 성장이 지속된다면, 이를 둘러싼 정기선사간의 경쟁은 선박의 추가적인 확보와 대형화로 시현될 것이며, 항만간의 시설경쟁도 이어질 것이다. 또한 화주들의 시간을 중시하는 경향은 한층 강화될 수 있으며, 이는 허브-스포크형 네트워크의 발전과 더불어 확충된 선대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직기항서비스의 확대를 야기, 항로망은 한층 중층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was written in order to verify the actual influence of enlargement of container ship on calling pattern in liner shipping industry, especially on the hub-and-spokes type network.
Som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are too many factors on composing calling pattern to define it as a “Hub and Spoke” in recent east asia area trunk line network, and the enlargement of ship-size did not necessarily decrease number of calling port and accelerate “Hub and Spoke” network pattern.
Liner shipping companies who have secured much of container fleet through joint operation, alliance or M&A, increased and diversified their trade routes, in result, they could touch at new ports with no omission or reduction in established calling ports.
As a consequence, many of chinese and south-east asian ports have participated in new ocean-going container route, and it makes liner shipping networks more and more complicated work.
목차
〈국문초록〉
Ⅰ. 序論
Ⅱ. 컨테이너船의 大型化와 허브-스포크形 船路網
Ⅲ. 東아시아 地域의 定期船 航路網 構成
Ⅳ. 主要 定期船社 그룹의 東아시아 寄港形態의 最近 變化
Ⅴ. 寄港地 數에 關한 몇 가지 壓力
Ⅵ. 小結
〈參考文獻〉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