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과 중국간 육상화물운송 전환수요 추정
이용수 49
- 영문명
- A Study on the Modal Shift Estimations of Surface Freight Transport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 Focusing on China’s Three Northeast Provinces and Beijing
- 발행기관
- 한국물류학회
- 저자명
- 홍성욱(Hong, Sung-wook)
- 간행물 정보
- 『물류학회지』제16권 제1호, 5~2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3.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반도와 중국간의 육상교통연결을 가정하고 이에 따른 육상화물운송수요를 추정하였다. 남북한의 협력과 교류가 가시권에 들어오고 러시아 및 중국이 한반도와의 육상연결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중간 육상교통의 연결가능성을 전제로 현재 해운과 항공운송만을 이용하던 수송수요가 장래 육상운송수단으로의 전환될 가능성을 추정하였다. 특히 북경과 동북3성지역과 교역에서 장래 육상수단의 이용이 가능할 경우 수단별 화물수송의 분담율을 추정하였다.
수송비용의 변동이나 수송시간의 변동에 따른 민감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육로로의 수요전환효과는 특히 수송비용의 변동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나, 한반도와 중국간 육상교통연결에 있어 비용문제가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북한지역의 수송비용과 수요관련 자료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시도한 화물의 육상수송에로의 수요 전환효과 추정결과는 동북아수송체계의 구축과 더 나아가 유라시아 수송로의 구축이라는 거시적 차원에서 검토되기 위한 준비단계로 한반도와 중국간 육상화물교통의 잠재력에 대한 검토로 그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based on the assumption of surface transport linkages between Korea and China. Active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re expected within the near future and Russia and China have interested in the land transport linkages in Korean peninsula. How much freight demands between the two countries that has been mainly dependent on air and sea transportation so far may convert the transport mode to surface transportation are estimated. Particularly, freight demand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s three northeast provinces are focused.
The sensitivity analysis depends on transport time and transport cost changes is included. The modal shifts is estimated to be more sensitive to the changes in transport costs than those in transport time, suggesting the importance of transport costs of rail and road.
Despite the dearth of data on the surface transport operation in North Korea, the attempts made in this study to estimate the demand conversion are hope to provide reference points for potential effects of the rail and road transport connections between China and the Korea peninsula before our discussions expand to the establishment of freight transport network of the northest Asia and, moreover, the Eurasian continent.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한ㆍ중간 육상화물수송 전환수요 추정모형
Ⅲ. 서울-베이징간 육상화물운송으로 전환수요추정
Ⅳ. 서울-셴양간 육상화물운송으로 전환수요추정
Ⅴ.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