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생의 영어듣기 능력과 관련된 적어두기 활동의 효과
이용수 273
- 영문명
- The Effects of Note-taking Strategie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stening Comprehension
- 발행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이형숙(Hyong-sook Lee) 김동규(Dong-kyoo Kim)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51집, 37~6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9.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의 영어 듣기 활동에서 적어두기 활동실태와 그러한 활동이 학생들의 듣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총 131명의 초등학생들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는데 학생들은 적어두기 전략의 실행 정도, 적어두기 전략에 대한 인식, 적어두기 전략을 권유받은 경험, 적어두기 전략 실행 방법 등에 관한 설문지에 답하였다. 또한 적어두기 전략의 사용과 학생들의 듣기 능력 간의 상관관계가 조사되었다. 이 연구의 실험설계 영역에서는 두 집단을 실험과 통제집단으로 나누고 실험집단에만 적어두기 전략에 대한 훈련이 실시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초등학생들의 적어두기 전략의 사용은 그들의 듣기 능력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실험집단에서 적어두기 전략 훈련의 효과는 검증되지 못했다. 즉 사후 듣기 시험에서 두 집단의 듣기 능력은 향상되었으나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se of note-taking strategies by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note-taking strategies and the students’ listening proficiency. This study also attempted to explore the effects of note-taking strategie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listening proficiency. A total of 131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examine their use of note-taking strategies, perceptions on note-taking strategies, experience with note-taking strategies, and methods related to note-taking strateg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ents’ use of note-taking strategies and their listening proficiency was also examin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and the listening tests. For the experimental part of this study,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note-taking strategies training whereas this treatment was not conducted on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ed less note-taking strategie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ents’ use of note-taking strategies and their listening proficienc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erceptions on note-taking strategies and their listening proficiency was also significant. Third, the experimental part of this study failed to find any significant effects of note-taking strategies training on the students’ listening proficiency. Several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and future research is suggest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Ⅴ.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1. 적어두기에 관한 설문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