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ICT 활용 실태에 대한 연구
이용수 311
- 영문명
- A Study on the Use of ICT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
- 발행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김운화(Wn-Hwa Gim) 서정희(Jeong-Hee Seo) 김용진(Yong-Jin Kim)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51집, 181~20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지난 10년간 과학 수업에 활용될 수 있는 ICT 기자재의 보급과 자료의 개발이 정책적으로 이루어져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노력들이 학교 현장에서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중소 도시에 위치한 1개 중학교 과학교사 3명의 과학 수업을 한 학기동안 관찰하고, 수업일지 조사와 면담을 실시하여 질적 분석을 하였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160명의 중학교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과학 수업에서의 ICT 활용에 관련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수업에 활용될 ICT 기자재는 구비되었으나 과학교육용 ICT 자료의 공급은 부족하였다. 과학교사들은 PPT 등의 자료 편집은 가능하였으나 새로운 ICT 자료를 개발하는 능력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관찰에서 과학교사들이 가장 선호하는 ICT 자료는 교과서 내용과 순서가 동일하면서 사진과 동영상을 포함한 멀티미디어 CD와 PPT이었으며, 웹사이트를 주 1회 이상 활용하는 경우도 많았다. 과학 수업에서 ICT 자료를 활용하는 목적은 학생의 흥미유발과 내용 이해, 실험보조 등의 기능이었으며, 교사 중심의 강의식 수업을 위한 편리성으로 ICT를 활용하였다. 유비쿼터스 구축과 스마트러닝을 추구하는 시대에 교수자 중심의 ICT활용 과학 수업은 학습자 중심의 과학 학습 활동으로 변화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During last decade, dissemination of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equipments and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aterials used in science class have been promoted as a government polic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atus of the use of ICT in a middle school science class. For this, class observation for the duration of one semester, investigation of teacher journals, and teacher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three science teachers of a middle school in a small city. To compliment this, survey was additionally done on utilization of ICT of science teachers in their science classes. 160 science teachers at middle school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ICT devices and equipments which could be used in science class was well equipped, but contents utilized in science class was inadequate. Second, science teachers had some ability to edit instruction materials like PPT files, but they were poor at creating ICT materials for themselves. Third, science teachers preferred multimedia CDs, PPTs, websites which were in the same order as textbooks and including abundant photos, pictures and video clips, and they were usually using them once a week. Fourth, the aim of using ICT materials in science class by science teachers was to improve student’s interest, to help student’s understanding, and to support science labs, and these all were more focused on teacher-centered using ICT and improving teacher’s convenience. We are approaching a “Smart Learning” environment in which every student has their own digital device and student-centered learning is becoming more dominant. So science classes should be augmented to become more student-centered.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